본문 바로가기

"한국이 마라탕 훔쳐갈까 겁나네"…中 누리꾼 황당 주장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중국 누리꾼 '동북공정' 주장 계속돼
이순신 장군 '중국 문명'으로 소개한 게임 광고도 논란

최근 중국 중앙방송 CCTV는 한국에서 마라탕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CCTV 기자가 마라탕 밀키트 제품을 들고 소개하는 모습. 사진=CCTV 뉴스 영상 캡처.

최근 중국 중앙방송 CCTV는 한국에서 마라탕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CCTV 기자가 마라탕 밀키트 제품을 들고 소개하는 모습. 사진=CCTV 뉴스 영상 캡처.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현주 기자] 한국에서 마라탕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중국 누리꾼 일부가 "한국이 마라탕까지 빼앗으려 한다"는 취지의 억지 주장을 펼치고 있다.


최근 중국 중앙방송 CCTV는 "한국의 중·고교 여학생들은 떡볶이(5%)보다 마라샹궈·훠거전문점(7%)에서 더 많은 돈을 쓴다"며 한국 내 마라탕의 인기에 대해 보도했다. 이는 KB국민카드가 지난 4년간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의 체크카드 매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CCTV 기자는 경기 수원의 한 마라탕 매장을 찾아 "한국에서 고온다습한 날씨가 지속되자 '이열치열' 메뉴로 마라탕이 많이 팔린다"며 "한국인들은 시원한 에어컨 바람을 쐬며 뜨거운 마라탕을 먹는 것을 좋아한다"고 전했다. 마라탕의 인기에 힘입어 마라탕 밀키트(Meal kit·간편식) 제품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고도 소개했다.


해당 보도는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웨이보 등을 통해 확산됐다. 기사를 공유한 글에는 1만개 이상 댓글이 달렸고, 지난 23일에는 '마라탕에 빠진 한국'이라는 키워드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2위에 오르기도 했다.


문제는 중국 일부 누리꾼들이 "한국이 마라탕을 자기네 음식이라고 우길 것"이라고 억지 주장을 펼치면서 시작됐다. 기사 댓글에는 "한국인들이 김치에 이어 곧 마라탕을 훔쳐 갈 것이다", "한국이 마라탕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한국이 우리의 음식인 마라탕을 빼앗아 가지 못하도록 지켜야 한다" 등 황당한 반응이 잇따랐다.

중국 일부 누리꾼들이 한국이 마라탕을 빼앗으려 한다는 취지의 황당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국 일부 누리꾼들이 한국이 마라탕을 빼앗으려 한다는 취지의 황당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본보기 아이콘


한편 중국은 한국의 김치와 한복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우수한 고유문화를 자신들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동북공정'을 지속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모바일 게임 '문명정복' 광고에서 이순신 장군의 소속 문명을 '중국'으로 표기해 거센 비판을 받기도 했다.


광고를 접한 국내 누리꾼들은 "역사 왜곡"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게임사 측은 "운영팀에서 명칭이 잘못 기재됐음을 확인하고 즉시 삭제 조치했다"며 "이미지 제작 작업 중 편집 실수가 발생했고, 별도 검수를 받지 않은 상태로 광고에 사용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19일 페이스북을 통해 "회사 측의 해명이 있었지만, 중국이 그동안 게임을 지속해서 '문화 공정'의 수단으로 사용했던 의혹이 있었던 데 주목해야 한다"며 "특히 모바일 게임은 아동과 청소년에게 접근성이 좋은 만큼, 잘못된 문화와 역사의식을 심어줄 수 있기에 큰 우려가 되는 게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향후 중국 게임에서 우리의 문화와 역사를 또다시 왜곡하면, 비난과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응해 올바르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네이버 아이콘네이버 랭킹 기사

구독아이콘구독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