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여름철 재유행 대응방안 공개
'거리두기' 없었지만...새 변이 대응 등 숙제
[아시아경제 김정완 기자] 코로나19 감염병이 다시 재유행 조짐을 보이면서, 지난 2년간 거리두기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들은 다시금 긴장을 놓지 못하게 됐다. 사회활동을 제한하는 형식의 방역 대책은 가동되지 않아 한숨 돌렸지만 유행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 도입될 가능성도 제시됐기 때문이다.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여름철 코로나19 재유행 대응방안을 공개했다. 신규 확진자가 1주일에 2배씩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이 2주째 이어지는 등 유행 반등세가 점차 뚜렷해짐에 따라 정부가 6차 유행에 다가선 것을 공식 인정하고 방역의료 대응에 나선 것이다.
정부는 이번 대응방안에서 광범위한 사회활동 제한을 최소화하는 것을 골자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4차접종 대상이 기존 60세 이상에서 50대와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으로 확대됐다.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7일 격리의무는 그대로 유지되고, 입국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는 3일 이내에서 1일차로 강화된다.
당초 모임 인원수·영업시간을 제한하는 형태의 거리두기는 없었지만 상황에 따라 재개될 가능성도 제시됐다.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현 단계에서 거리두기 의무화 조치는 시행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유행상황에 중대한 변화가 생기는 경우 선별적·단계적 거리두기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재유행 대비 대책으로 '백신'을 내놓은 가운데 새 변이가 속출하고 있어 유행상황에 급격한 변화가 생길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국내 우세종으로 자리잡고 있는 BA.5 변이, 해외에서 속출하고 있는 BA.2.75 변이 등은 전파력이 기존보다 매우 강하고 면역 회피력 역시 한층 강해졌기 때문이다.
60대 전체 4차 접종률이 아직 23%에 머물고 있는 상황도 또 다른 숙제다. 4차 접종 대상자를 확대한 것은 고위험군에 속하는 50대 접종률을 높여 치명률을 낮추겠다는 계획인데, 60대 접종률이 더디게 나타나 이조차 쉽지 않을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계속 유지한다고 밝히면서 각국 정부에 코로나19 감염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오미크론(BA.1)의 하위 변이(BA.5)가 감염자수를 증가시키고 추가 사망자를 내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마스크 착용과 같은 조치를 부활시킬 것을 권고했다.
상황이 이런 탓에 지난 2년간 거리두기로 경제적 피해를 입어온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긴장을 놓을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서울 서대문구에서 주점을 운영하는 김모씨(64)는 "코로나 기간 동안 하루에 손님이 한 명도 안 왔던 날들도 많았다"며 "이제 겨우 매출 회복세 갖고 빚들 좀 갚아가나 했는데 다시 그때처럼 돌아갈 생각 하면 너무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술집은 시간 제한 영향을 너무 많기 받아서 긴장을 한시도 놓을 수가 없다"고 호소했다.
동대문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권모씨(67)는 "지난 2년은 최악의 악몽이었다"며 "2주 지나고 풀리길 기다리고, 장사 접어야 하나 수백 번 고민했다"고 했다. 그는 "이제는 그렇게 제한해서 막을 수 없다는 걸 느끼지 않았나"라며 "또다시 그런 방법으로 수많은 사람들 피해보는 걸 반복해선 안 되는 일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 2020년 3월 처음으로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고강도 방역정책으로, 감염병 확산을 억제하면서도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국민에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끼쳤다. 위중증률이 낮은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효력이 낮아진 거리두기 정책은, 지난 4월18일 전격 해제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확진자 수보다 위중증 환자와 치명률 관리에 주력해왔다.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중국 때문에 못 살겠다…920% 관세 폭탄 때리자"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