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원전이 에너지 안보의 중추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미 러시아와 중국이 원전 시장을 장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에너지 위기와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미국과 유럽 등은 주도권을 잃었다는 설명이다.
2일(현지 시각) 미국 CNBC 방송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날 성명을 내고 2017년 이후 건설된 신규 원자로 31개 가운데 27개가 러시아 또는 중국의 설계를 토대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전 주도권이 독보적인 설계 기술을 가진 러시아와 중국에 넘어갔다고 분석했다. 에너지 위기 속에서 전 세계가 2050년 탄소중립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신규 원자로가 많이 건설돼야 한다고 봤기 때문이다. IEA는 이를 위해 원자력 발전량이 2020년 대비 2배로 증가해야 한다고 추산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와 중국의 상황이 더욱 유리해졌다고 봤다. 친환경을 강조하던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 공급난을 겪으며 화석연료로 돌아서는 움직임을 보이면서다.
영국은 지난 4월7일 발표한 '영국 에너지 안보 전략'에서 원전 확대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는 현재 15%인 원전 비중을 2050년 25%로 늘리기 위한 자금조달과 건설지원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겼다. 프랑스는 기존 원전 부지 내에 신규 원자로를 6기 건설하기로 했고 추가 8기 건설도 고려 중이다.
유럽 국가들의 태도 변화는 지난 5월11일 러시아가 발표한 천연가스 수출 통제 정책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정책이 그간 대러시아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EU에 치명적이었다는 설명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EU는 지난달 기준 석탄의 경우 46.7%, 천연가스는 41.1%를 러시아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IEA는 러시아와 중국의 원전 시장 점유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고 전했다.
반면 미국과 유럽은 원자력 건설 공백기에 발목을 잡힌 모양새다.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탄소중립 목표 등을 이루기 위해 원자력에 대한 투자를 강화했지만 기술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23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에서 진행 중인 일부 원자로 건설 사업은 완공 시기가 미뤄지거나 예산이 초과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안전 등 각종 이유로 수십 년간 원자력 설비 건설을 중단한 뒤 갑자기 원자로를 건설하려고 하니 경험 있는 기술자를 찾을 수 없게 됐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경우 노르망디 해안의 플라망빌에 건설 중인 차세대 유럽형 가압경수로(EPR) 완공이 10년 이상 늦춰졌다. 당초 2012년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현재 용접기술자들이 7년 전 경수로의 냉각시스템 주변에서 발견된 실수를 아직도 바로잡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30여 년 만에 건설되는 조지아주의 원자력발전소 완공이 늦춰졌다. 예산도 수조 원이 초과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원전은 용접에서 문제가 발견돼 공사가 중단됐다.
한편 중국은 지난해부터 향후 15년 동안 신규 원전 최소 150기를 추가로 짓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세계 나머지 국가들이 지난 35년간 지은 원전 수보다 많은 수다. 계획한 원전이 모두 지어질 경우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원전국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황수미 기자 choko21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15조원어치 거대 금광 발견했다…주가 오르고 난...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