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대통령 집무실이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이전하면 해당 지역 상권에 '긍정적'인 영향이 기대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알스퀘어가 '용산 시대 개막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8일 발표한 결과 10명 중 6명(58.6%)은 상권에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진행했으며 국내 기업 부동산 담당자를 포함해 총 1110명이 참여했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상권에 ‘긍정적’이라고 본 응답자의 30.8%는 ‘유동인구가 늘면서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봤다. 24.6%는 ‘정부 기관 등 행정기관 추가 입주 기대감’을 꼽았다. ‘대통령 집무실 소재 지역이라는 프리미엄(21.5%)’과 ‘대형 개발사업 가능성(12.3%)’ 등이 뒤를 이었다.
상권에 ‘부정적’이라고 답한 응답자 10명 중 4명(39.1%)은 ‘각종 집회와 시위’를 이유로 꼽았다. 34.8%는 ‘개발 규제’로 상권 활성화에 악영향이 있을 것을 우려했다.
상권과 달리 오피스 시장 전망은 기대감과 우려가 공존했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이 오피스 시장에 ‘긍정적(51.4%)’이라는 의견과 ‘부정적(45.9%)’이라는 답변이 팽팽하게 맞섰다.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의 48.3%는 ‘행정기관의 추가 입주 기대감’을 이유로 꼽았다. 23.3%는 ‘주변 개발 사업 활성화’를 오피스 시장 호재로 봤다.
‘부정적’을 고른 응답자의 절반(55.4%) 이상은 ‘대통령 주재에 따른 규제 강화로 개발사업 지연’을 예상했다. ‘빈번한 집회, 시위로 기업들이 입주를 기피’하며 오피스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란 의견은 32.1%를 기록했다.
알스퀘어 관계자는 "대통령 집무실 용산이전에 따라 업무시설등 상업부동산 시장에 개발기대감과 규제 우려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있다"며 "용산 개발계획의 세부그림에 따라 시장영향이 가시화될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용산은 철도정비창 부지를 국제업무지구로 조성하는 사업과 한남뉴타운 재개발, 유엔군사령부 부지 복합개발 등이 추진되고 있다. 지난 6일 열린 임시 국무회의에서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위한 예비비 지출안이 의결되며 이론적으로 5월10일 이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입주가 가능할 전망이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 가만히 있을 때가 아니다"…해외에서 돈 쓸...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비주얼뉴스]돈풀렸다…1000만원짜리 월세족 우르르](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916054586244_1761721544.png)



![[인터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2909132785066_1761696807.jpg)

![[법조스토리]사법부 공격으로 변질된 사법개혁](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08304620423A.jpg)
![[시시비비]대한민국이 맞이한 재평가의 시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107544320600A.jpg)
![[뷰포인트]문화위기가 정치위기를 부른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03014251675774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