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애플·인텔 등 글로벌 기업 '탈러시아'…韓 기업도 러 제재 동참하나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글로벌 기업, 잇따라 판매 중단 및 철수 선언
삼성전자도 러시아행 물품 선적 중단…6백만 달러 기부
韓 기업, 공장 많고 판매 비중 높아…철수는 현실적 어려움 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진호 기자] 인텔, 애플 등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탈(脫) 러시아'를 선언하고 나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을 규탄하기 위해 모든 상품의 판매와 선적 등을 전면 중단하고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등 한국 기업들의 러시아 제재 동참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러시아 판매 비중을 현실적으로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섣불리 철수 등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기 보다는 인도적 차원에서 기부 등을 통해 간접적 지원에 나설 것이 유력해 보인다.

5일 주요 외신과 재계 등에 따르면 인텔은 전날 러시아와 벨라루스에 대한 제품 판매를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인텔은 성명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한다"며 "전쟁을 즉각 종식하고 조속히 평화를 되찾을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애플도 지난 1일(현지시간)부터 러시아에서 제품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애플은 또 러시아에서 결제 서비스인 애플페이도 제한했으며 앱스토어에서 러시아 매체인 RT뉴스, 스푸트니크뉴스 앱을 다운받지 못하도록 했다.


거대 IT기업과 에너지 기업들도 '탈 러시아' 행보에 나섰다. 셸과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 노르웨이 에퀴노르 등 주요 에너지 기업들도 최근 러시아에서 빠져나오겠다고 선언했다.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메타 역시 러시아 국영 언론 매체의 계정이 자사 플랫폼에서 광고나 영리 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했다.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글로벌 기업들에 러시아에 대한 압박 차원에서 전방위적 도움을 요청한 바 있다.


애플·인텔 등 글로벌 기업 '탈러시아'…韓 기업도 러 제재 동참하나 원본보기 아이콘


한국 기업들도 우크라이나를 위해 기부 등 간접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러시아행 물품 선적을 중단한 상태다. 또 우크라이나 난민 구호를 위해 600만달러(약 73억원)을 기부한다.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성명을 내고 “현재의 복잡한 상황을 면밀히 주시해 다음 단계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애플 등 다른 글로벌 기업들과 달리 철수 등 직접적 방안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지 공장 등이 많아 제재 동참에 현실적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LG전자는 모스크바 외곽 루자 지역에 위치한 해당 공장서 가전과 TV를 생산 중이다. 우크라이나에는 판매법인도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는 모스크바 인근 칼루가 지역 공장에서 TV를 생산 중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러시아에서 세탁기, 냉장고 등 주요 가전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경우 러시아 시장 내 점유율이 30%로 1위다.


특히 애플 같은 경우 러시아 현지 공장이 없지만.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은 현지 공장이 많아 제재 동참에 현실적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애플 등과 비교해 서방의 제재에 적극 참여하는 것은 많은 피해를 불러올 수 있는 만큼 해당 사안은 복잡하다"고 전했다.


한국의 대 러시아 수출 품목에서 25%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 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특히 현대차는 과거 러시아가 어려울 때 의리를 지켜 현지에서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어 서방의 제재에 동참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현대차는 오는 5일까지 가동이 중단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의 상황도 서방의 제재 동참이 아닌 '부품 공급난'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서방의 러시아 제재가 본격화되며 폭스바겐, 볼보, GM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잇따라 러시아 수출을 중단하고 나섰다. 다만 이들 업체는 러시아 판매 비중이 미미한 만큼 현대차 등과 달리 리스크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김진호 기자 rplk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이종섭 호주대사, 임명 25일만에 사의…윤 대통령 재가할 듯 [포토] 12년만에 서울 버스파업 "웰컴 백 준호!"…손흥민, 태국전서 외친 말…역시 인성갑

    #국내이슈

  • "애플, 5월초 아이패드 신제품 선보인다…18개월 만" 디즈니-플로리다 ‘게이언급금지법’ 소송 일단락 '아일 비 미싱 유' 부른 미국 래퍼, 초대형 성범죄 스캔들 '발칵'

    #해외이슈

  • 올봄 최악 황사 덮쳤다…주말까지 마스크 필수 [이미지 다이어리] 누구나 길을 잃을 때가 있다 푸바오, 일주일 후 中 간다…에버랜드, 배웅시간 만들어

    #포토PICK

  • 첨단사양 빼곡…벤츠 SUV 눈길 끄는 이유 기아, 생성형AI 탑재 준중형 세단 K4 세계 첫 공개 벤츠 G바겐 전기차 올해 나온다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국가 신뢰도 높이는 선진국채클럽 ‘WGBI’ [뉴스속 용어]코코아 t당 1만 달러 넘자 '초코플레이션' 비상 [뉴스속 기업]트럼프가 만든 SNS ‘트루스 소셜’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