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낸드 가격 2분기 5~10% 뛴다…韓 반도체 반사이익 기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트렌드포스, 올해 2분기 낸드플래시 가격 5~10% 반등 전망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에서 생산된 낸드플래시 제품<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에서 생산된 낸드플래시 제품<사진=삼성전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메모리 반도체인 낸드플래시 가격이 올해 2분기 5~10% 반등할 것으로 보여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예상보다 빨라진 가격 반등 수혜를 기대할 수 있게됐다.


11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점유율 32.5%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웨스턴디지털(WD)-일본 키옥시아 낸드 공장 재료 오염 문제로 낸드 가격 반등이 예상보다 빨리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2분기 낸드 가격이 5~10% 상승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당초 낸드 가격이 1분기에 8~13% 하락하고, 2분기에도 5~10% 낙폭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지만 1분기 5~10% 수준의 하락으로 낙폭이 줄어든 후 2분기 5~10% 반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을 수정한 것이다. 올해 낸드 플래시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수준으로 1~2분기 가격 하방 압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이었다.


낸드 가격 반등에는 세계 낸드플래시 점유율 2·4위인 WD와 키옥시아가 함께 운영하는 일본 공장 두 곳에서 정상 가동을 할 수 없을 수준의 재료 오염 문제가 발생한 영향이 크다. WD와 키옥시아의 낸드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각각 13.2%, 19.3%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와 경쟁하고 있다.


WD-키옥시아는 낸드 공장 재료 오염 수준과 정상가동 예상 시기 등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지만 업계는 3D 낸드에 오염이 집중돼 있으며 최소 6.5EB(엑사바이트·1엑사바이트는 약 10억GB) 규모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트렌드포스는 "이는 WD-키옥시아 공장 올해 1분기 출하량의 13%, 올해 출하량의 약 3%을 차지하는 수준"이라며 "오염 피해 정도가 확정될 경우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낸드 생산에 보통 2~3개월이 소요되는데, 생산 주기 사이클이 긴 3D 낸드가 집중 타격을 입은 만큼 공장라인의 생산 재개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WD-키옥시아 공장 생산 정상화 과정 중에 6.5EB 외에 추가적인 손실이 발견될 가능성도 존재하고 공장 가동 정상화 시점도 불확실하다"며 "생산차질의 반사 이익을 삼성전자 , SK하이닉스 , 그 외 낸드 공급체인 업체가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