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편파판정·한복공정 논란'에 높아진 반중 정서
'중국인 유학생 자퇴하라' 등 글 올라오기도
전문가 "무분별한 혐오는 경계해야"
지난 9일 중국대사관 인근에서 나라지킴이고교연합, 자유수호포럼 주최로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반대와 인권문제 해결 촉구 등을 주장하는 반중 집회가 열렸다. 한 참가자가 취재진을 향해 베이징 올림픽을 비판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무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허미담 기자]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등장한 한복 논란과 쇼트트랙 경기 편파 판정으로 시민들의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하고 있다. 특히 '공정'에 민감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는 중국에 대한 노골적인 적개심을 드러내며 중국 제품 불매운동까지 언급하고 있다. 전문가는 무분별한 중국 혐오는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선 중국을 비판하는 글들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누리꾼들은 '눈 뜨고 코베이징2022'라는 문구가 담긴 이미지를 커뮤니티에 공유하는가 하면 직접 중국 누리꾼들과 댓글을 통해 설전을 벌이고 있다.
이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한복공정' 논란과 편파 판정 문제가 불거진 것과 연관 있다. 지난 4일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한복을 입은 여성이 중국 내 소수민족 대표 중 한명으로 등장해 비판 여론이 일었다. 시민들은 개막식을 본 외국인들이 한복을 중국 의상으로 착각할 것을 우려하며 '문화 침탈'이라고 지적했다.
이 가운데 중국의 편파 판정 논란까지 나오면서 시민들의 분노는 더욱 커졌다. 지난 7일 열렸던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황대헌과 이준서는 레이스를 잘 마치고도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실격당했다. 이후 조 3위였던 중국 선수들이 결승에 올랐다.
그런가 하면 중국 누리꾼들의 뻔뻔한 태도도 문제가 됐다. 편파 판정 논란 이후 중국 누리꾼들은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를 통해 "한국 선수들은 왜 이렇게 반칙을 일삼느냐", "반칙 없기 경기 못하나", "규칙을 어긴 선수들"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특히 이날 웨이보에선 '황대헌 반칙'과 '우다징(중국선수)이 치였다'는 해시태그가 각각 1000만 조회수를 넘기면서 실시간 검색어 1,2위에 오르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자 '공정'을 중시하는 MZ세대의 분노는 거셌다. 직장인 김모씨(28)는 "중국이 김치, 한복, 태권도 등 우리 고유 문화를 자기네 문화라고 예전부터 우기지 않았나. 그래서 중국에 대한 감정이 좋지 않았다"며 "그 와중에 중국이 우리나라 선수들에 편파판정을 했다. 선수들은 이번 경기를 위해 몇 년간 노력했을 텐데 얼마나 허탈했겠냐. 아무리 개최국 어드벤티지가 있다고 해도 이건 아니다"고 비판했다.
관련해 젊은 세대 사이에서 반중 정서는 반일(反日) 정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하남석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는 현대중국학회 국제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 청년 세대의 온라인 반중 정서의 현황'을 발표했다. 한·중·일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한국 청년의 중국에 대한 호감도는 5점 만점의 2.14점,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2.83점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서도 중국을 향한 노골적인 적개심을 드러내고 있다. 한 누리꾼은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을 통해 "혹시 중국인 유학생 있으면 알아서 자퇴해달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일각에선 중국산 제품 불매 운동이 나타날 조짐도 보이고 있다. 누리꾼들은 SNS를 통해 중국 브랜드의 점포나 제품 등을 알리며 '중국불매', '보이콧차이나', '노노차이나' 등의 해시태그(#)를 달고 있다. 이외에 "중국산 게임 삭제하겠다", "중국 제품 안 쓰고 음식도 안 먹겠다", "코로나가 끝나도 중국 여행은 절대 가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도 있었다.
전문가는 반중 정서가 혐중(嫌中·중국 혐오) 정서로 번지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어떤 사안이 잘못됐다면 그 사안에 대해서만 이야기해야 하고, 비판해야 한다"며 "무분별한 혐오 정서는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젊은층은 온라인 등을 통해 기존의 문화공정 관련 이슈를 많이 접해왔다. 중국 누리꾼들도 문화공정을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통해 주장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며 "이렇다 보니 젊은층이 중국 관련 이슈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골프치던 MZ들 다 어디갔나요"…줄줄이 '철수' 하...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