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멀지 않은 미래에는 바이오 인공장기의 대량 생산·보급이 이뤄져 인간의 무병·장수 시대가 열릴지 모른다. 피부, 관절, 뼈, 각종 장기 등 원하는 신체 부위를 교체할 수 있다. ‘맞춤형 신체 설계’가 가능해진다. 고령화 사회라지만 아픈 장기가 생길 때마다 이식이 가능하면 문제될 게 없다. 이미 인공장기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글로벌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2015년 28억달러에서 2025년에는 309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앞으로 재생의료 조직 생산, 바이오 인공장기 제작 장비·부품·소재 산업 등 전후방 산업도 동반 발전할 전망이다. 인공 보철, 뇌·기계인터페이스(BCI) 기술, 의료용 동물 생산 산업 등도 유망한 분야로 꼽힌다. 인공장기 이식과 관련한 컨설팅·의료 관광업 등 관련 서비스업도 등장하고 병원의 인공장기 생산·이식 원스톱 서비스도 나타난다. 기존 의료 시장은 약물 치료와 장기 이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돼 재편될 전망이다. 특히 현재의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처럼 바이오 인공장기 분야의 거대 독점 기업이 탄생할 수 있다. 거대 자본이 투입되어야 하고,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이 필수적인 데다 핵심 특허 및 신기술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남은 장애물도 만만치 않다. 이종 간 이식의 경우 면역 거부 반응 해소가 큰 과제다. 세포 기반 인공장기는 타인의 세포를 이용했을 때 면역거부반응 및 감염·전염 가능성이 있다. 세포 분화과정에서 암세포나 원치 않는 조직으로 분화할 우려도 있다. 전자기기 인공장기는 해킹·오작동의 위험을 해결해야 한다. 사회적으로도 과제가 산적해 있다. 사회적 불평등의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최근 개발된 미국의 면역 치료제는 연간 비용이 약 5억원, 아스트라제네카의 제3세대 표적 항암제의 1년치 가격은 1억원, 인공심장은 1억5000만원 정도다. 같은 장기라도 가격에 따라 보급형, 고급형이 나눠진다면 계층 간 위화감 조성 등이 생기게 된다. ‘명품 장기’라는 이름으로 우월감, 패배감을 느낀다.
특히 경제적 능력으로 삶과 죽음이 엇갈리게 된다면 사회적 갈등의 요인이 된다. 인공장기를 단 이들이 더 강력한 신체 기능을 갖게 됐을 때 어떻게 대우해야 하는지도 문제다. 인공 장기를 달아 스포츠 선수가 된 사람은 국제 대회에 참가시켜야 할까 말아야 할까. 국가 의료 재정 비용 증가도 예상된다. 불법 장기 매매가 감소할 수도 있지만, 장기를 어느 순간 누군가 도둑질해 가거나 강도를 당하는 일이 생긴다. 전자기기 인공장기를 해킹당해 타인에 의해 신체 기능이 임의적으로 조종할 수도 있다. 실제 201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한 심장박동기 회사에 "해킹될 우려가 있다"며 리콜 조치를 취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하락세 아니었나…"3억원 넘는다" 분석 쏟아지는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