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가격 상승 전망 많아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올해 주택 시장 매매가격을 전망하는 설문조사 결과 하락과 상승 의견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현재 부동산 시장이 대통령선거, 금리 인상, 공급 부족, 재건축 규제 완화 등 악재와 호재가 공존해 있는 안갯속 장세라는 것을 방증한다.
3일 직방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올해 거주지역의 주택 매매가격을 어떻게 예상하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236명)중 43.4%(537명)가 하락할 것으로 응답했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는 38.8%(479명)로 하락과 상승의 의견 차이가 5% 이내로 팽팽했다.
이런 결과는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40대 이상은 하락 전망 비율이 더 높았던 반면, 30대 이하는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비율이 더 높았다.
직방 관계자는 "상승과 하락전망 의견 차이가 5% 이내로 팽팽한 만큼 올해 주택 매매가격은 예상하기 어려운 시장이 될 전망"이라며 "새로운 이슈인 대선과 지방선거 등 정책적인 변수에 따라서 주택 매매시장이 유동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지방, 지방 5대 광역시에서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서울은 47.6%가 하락, 33.8%가 상승, 18.6%가 보합일 것으로 전망했다. 지방은 하락이 45.8%, 상승이 37.3%, 보합 16.9%로 응답했다. 반면 경기는 상승이 42.8%로 ‘하락’(41.5%)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도 상승 응답이 43.0%로 하락(38.3%)을 전망하는 응답보다 더 높았다.
주택 보유 여부에 따라서는 유주택자가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비율이 높았던 반면, 무주택자는 하락 전망 의견이 더 많았다.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 이유는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이 3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금리인상으로 인한부담(24.2%),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부담(18.8%),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불안 지속(6.5%), △대선, 지방선거 공약(6.1%) 등의 순이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 가장 큰 요인으로는 상승 응답자 479명중, 22.5%가 '신규 공급 물량 부족’'을 꼽았다. 이어 △전월세 상승 부담으로 인한 매수전환(18.8%), △교통,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14.2%) △대선, 지방선거 공약(11.3%)등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전세가격은 전체 응답자 중 46.0%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30.6%는 하락, 23.4%는 보합이라고 답했다. 전 연령대에서 모두 상승 전망 비율이 높았고, 특히 30~40대에서 상승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전세 가격상승 이유로는 '전세공급(매물) 부족'(37.3%)이 가장 많았고, △매매가격 상승 부담으로 인한 전세 전환 수요 증가(22.0%),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매물이 출시되면서 임대료가 인상될 우려(17.9%) 등의 순으로 답했다.
상승 전망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전세 매물 부족과 매매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전세 수요 증가로 올해 전세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월세가격에 대한질문 역시 전체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1.4%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방 관계자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2년 연장했던 물건이 하반기에 나오면서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