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우리 갯벌 생태계 가치 연간 18조…오염물질 정화·관광휴양 제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해수부 추산…2013년 가치 대비 15조 늘어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세종=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우리나라 갯벌의 오염물질 정화, 관광휴양 제공 등 생태계 서비스 가치가 연간 17조8121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해양수산부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과 합동으로 지난 2017년부터 갯벌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연구를 추진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갯벌은 낙지, 바지락 등 각종 수산물을 생산하고 해양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한다.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는 등 여러 가지 혜택도 제공한다. 또한 관광자원으로서 갯벌어업 등 다양한 체험활동의 장으로 활용되고, 해양자원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해양치유 자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해수부는 갯벌의 생태계서비스 가치 중 조절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연간 17조8121억 원으로 추산했다. 이는 2013년 조사 결과(2조9101억원)에 비해 약 15조원이 늘어난 규모다.


해수부 관계자는 "평가 항목을 체계화하고 세분화하는 과정에서 탄소흡수 등 새로운 가치를 발굴했다"며 "우리 서남해안 갯벌이 세계유산으로 지정되면서 갖게 된 새로운 문화서비스 가치도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우리 갯벌 생태계 가치 연간 18조…오염물질 정화·관광휴양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해수부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번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갯벌의 공급·지원서비스에 대해 평가하고,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 전반에 대한 평가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갯벌 상부의 염생식물을 조성해 갯벌의 탄소저장 기능을 강화하고, 갯벌의 경관을 개선하는 갯벌 식생 복원사업 4개소를 신규로 추진한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이번에 발표하는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는 갯벌 보전 및 복원의 필요성과 경제적 타당성을 확인한 것"이라며 "갯벌 생태계 서비스의 평가방법을 고도화하고, 갯벌의 공급 및 지원 서비스에 대한 가치 평가를 추가해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갯벌 관리 정책을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