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소비자직거래 플랫폼 '위메프오 플러스' 정식 서비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외식업 자사앱 구축 솔루션 제공…개발·운영·유지보수 등 원스톱 지원

소비자직거래 플랫폼 '위메프오 플러스' 정식 서비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위메프오는 소비자직거래(D2C, Direct to Customer) 배달앱 솔루션 '위메프오 플러스'를 정식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위메프오 플러스는 외식업 업주들에게 고객과 온라인에서 직접 만날 수 있는 자체 플랫폼을 무료로 제공한다. 또한 온라인 판매를 위한 솔루션 전반과 온라인 점포 운영을 지원한다.

위메프오는 이 서비스를 대형 프랜차이즈는 물론 개인 점포를 운영하는 자영업자에게도 제공한다. 앱 개발 비용은 무료다. 앱 출시 후 실제 주문이 발생하면 3%대 수수료와 월 1만원 대 서버 이용료만 받는다. 위메프오와 시스템을 연동해 앱 운영과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추가 비용도 없다. 각 사업자 별로 원하는 앱 화면을 손쉽게 구현할 수도 있다.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외식업 업주들의 비용과 운용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별도 자사앱을 구축하는 만큼 자율적인 고객 관리도 가능하다. 푸쉬 알림, 쿠폰 발행, 이벤트 등 앱 가입 회원을 직접 관리하며 자유로운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다. 부릉·생각대로·바로고 등 주요 배달 대행사와도 시스템을 연동, 배달기사 호출을 위한 원스톱 솔루션도 제공한다.


이미 부어치킨, 땅스부대찌개, 아주커치킨, 크라이치즈버거, 닭장수 후라이드, 범프리카인생 치킨 등 10여개 프랜차이즈가 위메프오 플러스로 자사앱을 구축, 내달 초 서비스를 시작한다. 공유주방 브랜드 개러지키친과도 협업해 해당 공간 내 입점한 점포 메뉴를 주문할 수 있는 전용 앱 출시도 앞두고 있다.

위메프오 관계자는 "D2C 채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프랜차이즈에게 꼭 필요한 솔루션이라는 평을 받으며 정식 출시 전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며 "플랫폼 운영 부담은 줄이고 고객 접점은 확대하는 위메프오 플러스가 외식업 업주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