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EU-러시아 일촉즉발…美 "러, 우크라이나 침공할수도"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로 러시아 군 병력 이동
벨라루스의 난민 밀어내기에 EU와 긴장감 고조
푸틴·메르켈 두 차례 통화
각국 외교적 해법마련 분주

지난 10일(현지시간) 러시아 국방부는 자국 폭격기가 벨라루스 영공을 순찰비행하는 모습이 담긴 위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지난 10일(현지시간) 러시아 국방부는 자국 폭격기가 벨라루스 영공을 순찰비행하는 모습이 담긴 위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수환 기자] 벨라루스 난민 사태로 유럽연합(EU)과 러시아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미 당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 당국 관계자들이 EU 측 카운터파트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대상으로 군사작전을 감행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미 당국이 EU 측에 제공하지 않은 정보와 이미 공개된 정보를 종합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덧붙였다. 이와 별도로 영국 군사정보업체 제인스의 관계자들은 최근 러시아가 비밀리에 군 병력을 우크라이나 국경 근처에 배치하고 있다며 주로 야간 시간대에 병력이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미 정보 당국의 경고는 최근 러시아와 EU 간 갈등 국면이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나왔다.


폴란드 쿠즈니차 인근 벨라루스 측 접경지역에서 10일(현지시간) 유럽행을 원하는 중동 출신 이주민 수백 명이 텐트를 치고 노숙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폴란드 쿠즈니차 인근 벨라루스 측 접경지역에서 10일(현지시간) 유럽행을 원하는 중동 출신 이주민 수백 명이 텐트를 치고 노숙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벨라루스가 유럽의 제재 조치 철회를 압박하기 위해 중동에서 오는 난민들을 폴란드 국경 등 유럽 국가로 ‘밀어내기’ 하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다.

이에 EU 당국이 강경한 대응을 예고하자 벨라루스 동맹국인 러시아는 최첨단 폭격기를 벨라루스 영공에 급파했다. 벨라루스는 폴란드가 국경을 폐쇄하거나 EU의 추가 제재가 단행될 경우 유럽에 대한 가스 공급을 차단시키는 등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엄포를 놓고 있다.


미 당국자들은 러시아가 이번 벨라루스 난민사태를 사실상 기획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벨라루스발 난민 위기가 유럽과 러시아 간 일촉즉발의 갈등을 초래한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역내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4월 "우리의 레드라인을 넘으면 그들(미국과 유럽 동맹국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더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 같은 러시아의 위협 속에서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날 대국민 연설을 통해 "러시아의 심리적 압박은 우리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우리 군대는 언제 어디서든 반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각국은 외교적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지난주 빌 번스 미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러시아 정보 수장인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국가안보회의 서기를 만나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상황 등을 논의한 바 있다. 당시 러시아 측은 국경 지역 군사력 증강을 부인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이틀간 두 차례 전화 통화를 하며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문제를 논의했다. 크렘린궁은 이날 보도문을 통해 양국 정상 통화에서 벨라루스와 EU 국경 지역 정세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면서, 푸틴 대통령이 "문제 해결을 위한 EU 국가들과 벨라루스 간의 접촉 재개를 지지한다"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프랑스를 방문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파리의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프랑스를 방문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파리의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또 전날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프랑스 파리에서 만나 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을 만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도 "우리는 바이든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했다"며 "우크라이나의 영토 주권에 대한 전폭적 지지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한편, 러시아는 도발 의도가 없다고 반박했다. 러시아는 오히려 흑해 내 러시아 영해 인근에서 군사훈련을 진행 중인 미국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고 책임을 미국으로 돌렸다.






김수환 기자 ksh205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농심, '먹태깡' 돌풍 여전…"600만봉 넘었다"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국내이슈

  • '폭군' 네로 황제가 세운 궁전… 50년 만에 재개장 [르포]"새벽 1시에 왔어요" 中, 아이폰 사랑은 변함없었다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해외이슈

  • [포토] 무거운 표정의 민주당 최고위원들 조국·조민 책, 나란히 베스트셀러 올라 [아시안게임]韓축구대표팀, 태국 4대 0 대파…조 1위 16강 진출(종합)

    #포토PICK

  •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기아, 2000만원대 레이 전기차 출시 200만원 낮추고 100만㎞ 보증…KG 새 전기차 파격마케팅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폭스 회장직 물려받은 머독의 장남, 라클런 머독 [뉴스속 용어]헌정사 처음 가결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뉴스속 용어]'연료비조정단가' 전기요금 동결 신호?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