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앞으로는 행정문서들이 데이터 친화적으로 생산돼 데이터의 검색, 추출, 편집 등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쉬워진다.기존의 행정문서 작성방식은 부처마다 조금씩 달라 데이터를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고, 제공되는 문서도 여러 곳에 분산돼 있어 원하는 문서를 찾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11일 행정안전부는 국민의 데이터 수요가 높은 보도자료, 연구보고서, 공공서식, 채용공고문, 위원회결정문 등 5종을 대상으로 작성되는 항목을 표준화하는 한편 저장방식을 개방형 문서형식으로 전환하고, 만들어진 문서들은 통합·연계된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도록 개편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개편되는 공공서식 서비스를 12일부터 시작하고 연구보고서, 보도자료, 채용공고문, 위원회결정문 등은 내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행정내부문서도 문서 작성방식을 개방형 포맷으로 전환하고 문서정보에 키워드 등을 입력하도록 해 데이터 친화적으로 개편한다.
전자문서 및 처리언어 국내전문위원회 대표위원인 서울시립대 이재호 교수는 “인공지능 기술의 비약적 발전·확산과 더불어 데이터와 지식의 중요성이 주목받는 즈음에 행정문서 혁신은 정부의 디지털화를 위한 도약에 기여할 것”고 평가했다. 문서관리 응용분야 국제표준 대표위원인 팬소프트 남동선 대표도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 추출 기술개발이나 데이터 처리 및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봤다.
정부는 앞으로 국민공개문서는 개편대상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개편하고 행정내부문서에 대해서도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혁신방안을 확산해 나가는 등 행정문서 혁신을 범정부 차원으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단독]"170만원 드릴게요. 37살 여자가 탄 제차를 박는 겁니다"…'고액 알바' 둔갑한 '가피 공모'](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413581133764_174547069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