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은모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가 데이터 경제 시대에 정보주체 권리를 보호하고 안전한 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개인정보에 특화된 보호·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을 본격 추진한다.
개인정보위는 향후 5년간의 연구개발 방향을 담은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 R&D 로드맵(로드맵)’을 수립하고 10일 공개했다.
이번 로드맵은 개인정보위가 마련한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분류체계와 국내외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등을 고려해 수립됐으며, ▲정보주체 권리보장 ▲유출·노출 최소화 ▲안전한 활용 등 3대 분야 11대 핵심기술과 37개의 세부기술을 담고 있다.
개인정보위는 로드맵 마련을 위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R&D 로드맵 자문위원회(위원장 염흥열 순천향대 교수)’를 통해 핵심기술과 중장기 과제를 선정했으며, 공개토론회 등을 통해 관련 업계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로드맵은 공개 이후에도 민간 R&D 현황, 연구개발 수요 변화 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윤종인 개인정보위원장은 “기존 정보보안 기술로는 데이터 시대에 실효적인 권리 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며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 속에서 차질없는 개인정보 보호·활용 기술 R&D 추진을 통해 국민이 신뢰하는 데이터 시대를 선도해가겠다”고 말했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심하면 실명까지…일본·미국 이어 한국서도 급증 중인 '이 성병'](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18030615095461916_152031659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