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中, 4400억불 들여 15년간 원전 최소 150개 건설 추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블룸버그통신 "중국, 이르면 2020년대 중반께 세계 최대 원전국 될 듯"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이 탄소중립을 위해 상당 규모의 원자력발전소를 건립할 계획이라고 3일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향후 15년간 4400억 달러(약 520조원)를 투입, 최소 150기의 원자력발전소를 건립할 계획이다. 이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가 지난 35년간 건립한 원전의 수보다 많다.

블룸버그통신은 이같은 중국의 계획이 실현될 경우, 이르면 2020년대 중반엔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원자력 발전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각 국이 원전 신규 건설을 자제하는 가운데, 주요국 중 중국만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상황인 까닭이다.


세계원자력협회(WNA)는 중국의 원전 발전 비용이 타 국가보다 저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원자로 건설 비용의 70%를 국영은행이 저리 대출해주는 사업구조 때문이다.


한편 중국 당국은 오는 2060년까지 화석연료 사용 비율을 20% 밑으로 낮출 것이란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궁극적으론 현재 2990기에 달하는 화력발전소를 오는 2060년까지 청정에너지 발전소로 대체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선 중국 에너지 소비 중 원전 발전의 비중이 3위가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망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