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까지 모아두는 '저장강박증'
주변 이웃 악취·벌레 등 불쾌감 호소
저장강박증 환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도 없어
![집안을 가득 메운 쓰레기들. 악취가 이웃 등 주변인들에게 확산하는 것은 물론, 이 집에 살고 있는 당사자 본인에게도 쓰레기에서 비롯한 세균 등으로 건강상 치명적인 위험을 끼칠 수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1103000354989368_1635521750.jpeg)
집안을 가득 메운 쓰레기들. 악취가 이웃 등 주변인들에게 확산하는 것은 물론, 이 집에 살고 있는 당사자 본인에게도 쓰레기에서 비롯한 세균 등으로 건강상 치명적인 위험을 끼칠 수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윤슬기 기자] # 20대 대학생 A 씨는 얼마 전 임대아파트 청약에 당첨돼 독립했다. 설레는 마음으로 시작한 독립이지만 행복은 오래가지 않았다. A 씨는 어느 날부터 벽과 천장을 기어 다니는 바퀴벌레와 날아다니는 날파리로 스트레스를 받기 시작했다. 알고 보니 바로 옆집에서 집안에 쌓아둔 쓰레기 때문에 벌레가 꼬이고 냄새가 번지기 시작한 것이었다. A 씨 말고도 다른 주변 이웃들이 악취 등 불쾌감을 느끼고 민원을 제기하면서 쓰레기를 쌓아두고 사는 옆집의 실체가 드러났다.
# 자신의 아파트에 세를 놓은 집주인 B 씨는 요즘 세입자 C 씨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B 씨는 주변 이웃들의 민원을 받은 아파트 측의 연락으로 자신이 세놓은 집이 '쓰레기 집'이 되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소식을 듣고 C 씨를 찾아간 B 씨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C 씨는 집안에서 수십마리의 고양이들을 키우고 있었는데, 고양이들의 배설물과 대량의 쓰레기들이 뒤엉켜 집안이 엉망진창이었기 때문이다. B 씨가 청소 전문 업체에 문의한 결과 집 청소에 백만원 이상의 금액이 들고, 이미 집안 오염이 심각해 청소만으로는 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는 진단을 받았다.
◆ 강박장애 일종 '저장강박증'…스트레스나 우울증 원인
최근 저장강박증 환자가 늘면서 새로운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저장강박증이란 강박장애의 일종으로 어떤 물건이든지 집 안에 계속 쌓아두고 이렇게 하지 않으면, 불편하고 불안한 감정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심지어 쓰레기도 집으로 끌고 들어온다.
저장강박증은 2013년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분류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한국의 경우 저장강박증을 앓고 있는 사람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미국의 경우 전체 인구의 2~5%가 저장강박증 환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장강박증 발병 원인은 현재까지 뚜렷하게 알려지는 바는 없지만, 보통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으로 인해 그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보상 심리로 나타나거나, 사람들과 감정적인 교류를 하지 못하는 독거인에게서 많이 관찰된다.
◆ 집안 가득 쓰레기, 벌레는 물론 악취까지…이웃들 '고통'
문제는 버려야 할 쓰레기를 모으면서 비위생적인 환경에 처하고 구더기, 날파리, 바퀴벌레 등이 발생하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이다.
앞서 살펴본 사례와 같이 공동주택에서 사는 사람이 저장강박증 환자라면, 본인은 물론 주변 이웃에게도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이렇게 피해를 호소하는 이웃이 늘고 있지만,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지자체)는 일단 주거환경을 정비하는 식으로 대응을 하고 있다.
인천 남동구는 9월 60대 남성의 집 안팎에 쌓아둔 400㎏ 상당의 쓰레기를 정리했다고 밝혔다. 남동구는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7개월간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를 통해 모두 48건의 주거환경정비 사업을 진행했다.
경기 성남에서는 '성남시 저장강박 의심가구 지원에 관한 조례' 발의하고 지난해 11월2일부터 시행했다. 저장강박으로 인해 비위생적이고 위험한 주거환경에 거주하는 주민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민의 건강과 복리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목적이다.
충남 천안에서도 지난해 9월 관련 조례를 제정해 올 본예산에 3000만 원을 편성하고 9월 기준 11가구에 폐기물 처리와 소독비 등을 지원하고, 정신장애가 심한 대상자는 상담, 입원 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지자체 대응이 아닌 중앙 정부 차원에서 대대적인 조처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견해도 있다. 쓰레기가 모이고 악취가 진동하면, 그 물건을 치우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문제를 일으키는 환자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다. 현재 저장강박증 환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 집계조차 없는 게 현실이다.
전문가는 저장강박증 환자에 대해 과태료 등 형벌이 아니라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준수 서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KBS와의 인터뷰에서 "(환자들께서) 당연히 병원에서 진단받고, 병에 의한 것인 만큼 치료를 받아야 한다"라며 "과태료를 매기더라도 그 불안을 극복할 힘이 없으면 결국은 같은 행동이 계속 나타날 것"이라고 제언했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속보]헌재 "尹 대통령 '파면'…재판관 8인 전원일치"](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2413410880578_1742791269.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