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파산 위기' 中 헝다, 29일 500억대 채권이자도 못 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디폴트 우려 확산…당국 개입 속 구조조정 가능성 커져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수환 기자] 350조원대의 빚덩이를 안고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몰린 중국 2위 부동산 개발 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지난 23일에 이어 29일 지급이 예정된 달러화 채권 이자도 제대로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30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29일 4750만 달러(약 563억원)의 이자 지급이 예정된 2024년 만기 헝다 달러 채권 보유자들은 헝다 측으로부터 연락을 받지 못했다.

헝다는 이날 오전까지도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시장은 헝다가 결국 투자자들에게 이자를 제대로 주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헝다는 지난 23일에도 달러 채권 이자 8350만 달러(약 990억원)을 채권 보유인들에게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30일간의 유예 기간이 있어 헝다가 유예 기간 동안 채권 이자를 지급한다면 디폴트 사태를 피할 수 있다.

헝다는 29일 홍콩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성징은행 지분 19.93%를 99억9300만 위안(약 1조8300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헝다의 유동성 위기가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성징은행 지분 매각으로 확보된 자금 전액이 헝다가 성징은행에서 받은 대출 상환에 쓰이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채권 이자 상환 문제 해결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이처럼 헝다의 디폴트 위기가 여전히 진행 중이지만 국유기업의 성징은행 지분 인수를 계기로 중국 당국이 헝다 구조조정에 나서겠다는 신호탄을 쏘아올리면서 헝다 사태로 인한 금융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아졌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와이훙렁 크레인쉐어스 아시아퍼시픽 채권 ETF 매니저는 "가장 개연성이 높은 결과는 정부의 지원 속에서 채무 조정이 이뤄지는 것"이라며 "채무 조정이 채권자들에게는 큰 충격을 주겠지만 정부와 헝다가 고객과 협력업체 보호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헝다가 성징은행에 이어 헝다자동차 등 비핵심 자산을 처분해 당장의 유동성 위기를 넘기려고 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정부는 헝다 사태와 관련해 아직 적극적으로 개입할지, 헝다를 파산하게 내버려 둘 것인지에 관해서는 명확한 태도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다만 외신들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파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국이 어느정도 개입할 가능성이 있다.




김수환 기자 ksh205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