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3일 서울 종로구 청계천 버들다리(전태일다리) 내 전태일 열사 동상을 찾아 묵념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1090321282115734_1630672101.jpg)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3일 서울 종로구 청계천 버들다리(전태일다리) 내 전태일 열사 동상을 찾아 묵념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소영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최근 불거진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고발 사주' 의혹을 놓고 "윤석열 부부와 한동훈 검사장(현 사법연구원 부원장) 등이 모의 기획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그 흔적이 뚜렷하다"고 주장했다.
추 전 장관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윤 전 총장과 한 부원장, 채널A 기자 사이 '검언유착 의혹'에 대한 진상 파악을 지시했던 지난해 4월 당시 정황을 하나하나 나열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해 4월2일은 법무부 장관인 제가 채널A 기자의 협박 사건 보도와 관련해 진상 확인 지시를 내린 날"이라며 "지난해 3월31일 '유시민 전 이사장에게 돈을 줬다고 불어라, 다음 일은 우리가 알아서 한다'라는 취지로 이철 전 VIK 대표 측에 협박했다는 제보에 대한 보도가 있었고, 이에 제가 감찰을 위한 진상확인 지시를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언론 보도) 바로 다음 날인 4월1일, 윤 전 총장과 한 검사장은 전화통화를 17회, 그리고 윤 전 총장의 입이라 할 수 있는 권순정 대변인, 눈과 귀 역할인 손준성 수사정보정책관, 브레인 역할을 했던 한 검사장 사이에 45회의 단체카톡방 대화가 오갔음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이어 4월2일에는 윤 전 총장과 한 검사장 사이에 17차례의 전화통화가 있었고, 한동훈·권순정·손준성 단체 대화방에서 30회의 대화가 오갔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어제 뉴스버스에서 공개된 청부고발이 4월3일 이뤄지게 된다"고 말했다.
추 전 장관은 "그 이후에도 상당한 양의 소통이 카카오톡과 전화로 이어지는데 만약 청부고발과 연관됐다면 한 검사장이 필사적으로 핸드폰 비밀번호 제공을 거부하고 압수수색 저지를 했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또 "윤 전 총장의 지휘 아래 한동훈이 수사정보정책관실을 이용해 1차로 '유시민 엮기 공작'을 벌였으나, 제보자의 제보로 탄로나자 다시 손준성 수사정보정책관을 이용해 2차 청부고발 공작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선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근로 연령대별 소득 보장제도인 국민 안식년제와 '사높세'(사람이 높은 세상) 수당을 신설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1090321292415736_1630672164.jpg)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달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대선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근로 연령대별 소득 보장제도인 국민 안식년제와 '사높세'(사람이 높은 세상) 수당을 신설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이어 "윤 전 총장에 대한 '징계결정문'에 따르면 한 검사장과 김건희씨와의 통화가 이 무렵 전후로 4개월 동안 9차례, 윤 전 총장과는 397회 있었다"며 "또 3개월간 한 검사장은 김씨와 332회, 윤 전 총장과는 2330회의 카톡을 주고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왜 지방에 근무 중인 부하가 상관과 한 달 평균 100회의 통화를, 그의 부인과도 수백 회 문자를 주고받았는지 이 사건들의 모의와 연관성이 명명백백 밝혀져야 할 것"이라며 "대검 감찰부는 즉시 증거확보에 나서고 공수처는 증거인멸이 완료되기 전에 수사에 나서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윤 전 총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방문 후 기자들과 만나 "저는 고발 사주를 지시한 사실도 없고, 그럴 이유도 전혀 없다"며 "고발을 사주한다는 것 자체가 상식에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조사해서 저의 무관함이 밝혀지면 이 문제를 갖고 제 책임을 운운하고, 공작으로 공격했던 정치인들은 국민이 보는 앞에서 물러났으면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소영 기자 sozero81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