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은행 주담대 중단에 대출문의 빗발…"중도금·잔금 어찌하나요?"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 "10월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야 하는데 주거래은행인 NH농협은행이 아예 신규 대출을 막는다고 하니 걱정입니다. 다른 은행들도 중단하게 될까봐 걱정입니다."
"가을 이사철이 코앞인데 내집마련 사다리를 걷어차인 느낌입니다. 현금 100%로 집을 살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요?"
농협은행이 신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을 전면 중단하기로 하면서 부동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자금조달에 문제가 생길 것을 우려하는 실수요자들의 하소연이 쏟아지고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관리 강화를 압박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다른 은행들도 비슷한 조치를 내놓지 않겠냐는 공포감이 확산되면서다.
20일 직장인들이 몰려있는 농협은행 여의도 지점을 비롯해 각 영업점에는 오전 9시30분 영업을 시작하자마자 주담대 중단에 대한 문의 전화가 빗발쳤다. 농협은행은 오는 24일부터 11월30일까지 주택은 물론 주택 외 토지와 임야 등 비주택까지 포함되고 신규, 증액, 재약정을 아우르는 주담대를 중단하기로 했다. 각 지점 창구에는 언제까지 대출신청을 접수하면 받을 수 있는 지, 미리 대출을 받기 위해 준비해야 하는 서류 및 절차 등을 묻는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새 아파트 중도금 납부를 앞두고 집단대출도 전면 중단 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묻는 사람들도 있었다.
다른 은행들 사정도 비슷했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곧 다른 은행권의 대출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향후 대출 중단 가능성을 묻는 문의 전화가 쏟아졌다. 특히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자금조달 계획을 세우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시중은행 대출중단을 포함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적용, 주담대 변동금리 인상, 우대금리폭 축소, 신용대출 한도 축소 등 연이어 터지는 대출 규제에 미리 자금을 끌어놔야 한다는 조바심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한 은행 관계자는 "농협은행에서 대출이 막히면 다른 시중은행, 2금융권으로 몰려드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금융권 전체가 이번 결정에 따른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출관리 강화 압박하는 금융당국…추가 대출규제 불가피
농협은행의 대출 중단이 자체 논의를 통해 전격 결정된 만큼 금융당국도 상황 파악에 나서는 모습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11시 농협은행과 농협중앙회를 소집해 이번 대출 중단 결정과 가계대출 관리 방안 계획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농협은행의 올해 1~7월 가계대출 증가율이 7.1%로 정부의 연간 목표치인 5~6%를 이미 초과했다. 다른 은행들에 비해 현저히 증가율이 높아 약속한 연간 가계 대출 목표치를 어떻게 준수할 지 계획을 받는 게 필요했다. 또 농협은행의 주담대 중단 결정이 초강수 조치인 만큼 이에 따른 시장 불안과 대출 실수요자 피해 부작용을 막기위한 논의도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이 은행을 비롯한 전 금융권에 대한 가계부채 관리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어 추가 대출 규제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7월 중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5조2000억원 늘어 전월(10조3000억원)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이 한달새 7조5000억원이나 급증, 전월(6조4000억원)보다 증가 폭이 커졌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순증액도 6월 3조9000억원에서 7월 7조7000억원으로 불어났다.
DSR 규제의 확대 적용, ‘연봉 수준’으로 신용대출 한도 축소, 주담대 약정 위반 점검 확대와 이를통한 대출 회수 등이 현재 거론되고 있는 내용들이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과 미국의 조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움직임으로 우리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대출이 한꺼번에 막힐 경우 실수요자의 주택시장 접근 자체가 막히는 부작용이 야기될 수 있다.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아 생계비로 쓰거나 점포 운영비로 충당하는 자영업자도 상당한 만큼 서민들의 생계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월급 뻔하니 대용량 사서 소분해 써요"…역대급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