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금법 개정안도 "긍정적"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 20·30 MZ세대들이 간편결제(송금) 서비스 이용을 위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핀테크 플랫폼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간단하고 편리한 절차 등 편의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 개정안으로 달라질 금융 생활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핀테크 플랫폼이나 카드사의 계좌를 만들 수 있게 되는 종합지급결제사업자에 대한 기대가 컸다.
15일 한국핀테크산업협회가 모바일 리서치업체 오픈서베이를 통해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간편결제 서비스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수단에 대한 질문(복수응답)에 응답자의 96.2%가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 등 핀테크 플랫폼이라고 답했다.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의 경우 60.4%로 뒤를 이었고 신용카드 앱(48.6%), 삼성페이나 LG페이 등 스마트폰 결제서비스(44.7%)순이었다. 간편결제 서비스에 대한 평균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8.71점이었고, 매우만족(10점)을 선택한 비중이 전체 34.5%로 가장 높았다.
간편결제 등 핀테크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간단하고 편리한 절차 등 편의성을 1위로 선택한 응답자가 89.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저렴한 이용료 및 수수료(8.4%), 기존에 없던 새롭고 혁신적인 서비스(2.5%)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2030세대는 전금법 개정안 통과로 달라질 금융 생활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의견을 밝혔다. 특히 핀테크 플랫폼, 카드사 등에 계좌를 개설하고 급여를 이체 받아 바로 결제 및 송금, 공과금 및 카드청구금 납부 등이 가능한 종합지급결제사업자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이 84.6%에 달했다.
소액후불결제 도입, 선불충전금 한도 상향 등에 대해서도 절반 이상이 필요하거나 유용하다 등 긍정적 의견을 보였다. 고위험 거래에 대한 2개 이상의 인증 의무 등 보안강화에 대해서도 “지금보다 불편해져도 금융거래 안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62%에 달했다. 다만, 진입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부적격한 사업자의 난립을 우려하는 시각으로 인해 긍·부정 응답이 팽팽했다.
류영준 핀테크산업협회 회장은 “핀테크를 통해 경쟁과 혁신이 촉진되고 정보비대칭이 해소되면서 금융시장의 주도권이 금융회사에서 금융소비자로 넘어오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다고 본다”며 “향후 디지털금융 기본법 격인 전자금융거래법의 개정을 통해 편의성, 보안성 등 금융소비자의 주권이 다방면에서 향상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간편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20·30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흔들리는 韓, 퇴직자 954만명 대기 중…연금 안 나오고 인력은 빠져나간다[정년연장, 선택의 시간]](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91909225031871_172670537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