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규 고려대 교수 연구팀, 키브샤 호주 국립대 교수 공동 연구
"에너지 손실 및 발열 문제 자유로워...광소자 상용화 앞당길 것"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기존보다 천만배 더 적은 에너지로도 구동되며 작은 공간에 빛을 강하게 집속할 수 있는 극미세 나노레이저가 개발됐다. 에너지 손실이나 발열 문제에서 자유롭고 속도가 빠른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와 컴퓨터 등의 부품을 제작할 수 있어 주목된다.
한국연구재단은 박홍규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키브샤 호주국립대 교수와 공동연구로 새로운 공진(共振) 현상을 발견해 기존보다 천만 배 낮은 에너지로 발진시킬 수 있는 초저전력 나노레이저를 설계했다고 13일 밝혔다.
레이저가 소형화되면 부품인 공진기도 작아지는데, 작은 공진기에 빛을 얼마나 잘 집속시키는 지가 레이저의 성능을 좌우한다. 빛을 원하는 때 강하게 증폭시킬 수 있도록 주변 공간과 상호 작용하지 않는 에너지 상태(BIC)의 전하를 이용해 빛을 가두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공진기가 작아지면 빛을 효과적으로 가둘 수 없어 이 에너지 상태를 이용한 물리현상이 소용이 없었다.
연구팀은 동작조건이 까다롭고 소형화에 한계가 있는 기존 방법 대신 여러 BIC를 동시에 결합한 ‘슈퍼 BIC’를 고안했다. 주변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전하 둘을 병합해 한 점에 모은 것이다. 빛이 빠져나갈 가능성 자체를 차단하되 병합을 통해 작은 크기에서도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했다. 기판에 사각격자 구조를 만들고 격자구멍 간격을 1nm 수준으로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슈퍼 BIC’ 레이저를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간격이 574nm일 때 서로 다른 BIC가 병합되며 ‘슈퍼 BIC’ 레이저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했다. 레이저 소자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 으로서 BIC 병합이라는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레이저는 발진에 필요한 에너지인 문턱 값이 기존 나노레이저에 비해 천 만 배까지 낮아졌다. 소모전력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되는 셈이다. 구조가 작아지거나 결함이 생기더라도 병합에는 영향이 없어 유연한 빛 구속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구팀은 격자 간격을 보다 유연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신축성 있는 소자를 이용한 후속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 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지난 5일 게재됐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민주 "탄핵 안 하면 감액 예산안 통과" vs 한동훈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