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바이오 인력난] 졸업생 임상진료 쏠림에…K바이오 연구인력 부족 한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정부도 인재양성 나섰지만
부처별 진행에 속도 더뎌
전문가 "인프라 마련 시급"

(단위: 명, %)

(단위: 명, %)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국내 A제약사는 몇 해 전 바이오 자회사를 설립한 뒤 고민에 빠졌다. 인력 채용 문제 때문이다. 이 회사 대표는 "바이오 분야 적임자를 찾지 못해 결국 본사의 바이오 인력 뿐만 아니라 바이오가 주력이 아닌 케미칼·약학 담당까지 끌어다가 자회사로 이동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제약바이오업계는 바이오 전문 인력 양성의 가장 큰 문제로 바이오 관련 졸업생이 적지 않지만 기업에서 실제 쓸 수 있는 인재는 부족한 ‘스킬 미스매치’ 현상을 꼽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대학의 바이오 관련학과 학부·석·박사 졸업생은 약 5만7000명 수준으로 학과별 배출자는 임상보건, 생명과학, 식품영양, 생명공학 순이었다.

그러나 대학 인력배출 규모가 많은 의료, 임상보건 분야 졸업자는 대부분 임상진료 직종에 집중됐으며, 제약·바이오 등 산업계 진출은 부족한 상황이다. 한국바이오협회 인력양성부문 손지호 상무는 "기업 채용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인력을 구하지 못해 발생하는 미충원률이 제약산업의 경우 4.2%, 의료기기산업은 11.9%에 달한다"면서 "특히 수요가 높은 제약산업의 연구부문 미충원률은 11% 정도"라고 전했다.


정부도 이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바이오 인재양성에 나섰지만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정밀의료·재생의료·의료 빅데이터 등 바이오헬스 신산업분야 전문인력은 2019년 대비 2025년까지 7만4256명이 더 필요하다. 특히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4개의 위탁생산을 맡고 있는 바이오 생산 분야의 인력 부족도 문제다. 한국은 단기간 바이오 생산능력을 급증하며 백신 글로벌 허브로 떠올랐지만 바이오 공정관리 등 현장 전문인력은 수요를 쫓아가기 버거운 상황이다.

업계는 인재양성을 위한 국가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대학·기업의 인재 양성을 보완·지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바이오 신산업에 대한 수요가 크지만 정작 국내서는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교육기관과 교수진이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정부가 첨단 교육을 제공하는 아일랜드 NIBRT 교육방식을 벤치마킹해 2024년과 2025년에 총 4000명의 인력을 양성하기로 했지만 장기적으로 급증하는 인력 수요에 대비하려면 예산과 지원을 더욱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