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AI패권전쟁] 고질적 인재난…키우지도 데려오지도 못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전세계 핵심 인재 500명 중 韓 출신 1.4%…中 10분의 1
연봉·기업문화 탓 유치 어려워
"AI융합 전문 인력 양성 시급"

[아시아경제 강나훔 기자] 한국이 인공지능(AI) 글로벌 패권 경쟁에 나선 미국, 중국, 유럽 등에 비해 AI 경쟁력이 뒤처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질적 인재난이 꼽힌다. AI와 연관 산업을 융합·연구하는 전문인력 양성에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AI패권전쟁] 고질적 인재난…키우지도 데려오지도 못했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韓 활동 AI인재는 2%도 안돼= 2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내년까지 국내 AI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만 1만명에 가까운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전문 인력 규모도 경쟁 국가에 비해 모자랄 뿐 아니라 국내외 우수 인재 유치 및 활용 규모도 낮다. 국회입법조사처가 2019년 ‘인공지능 기술활용인재 현황과 시사점’을 주제로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공지능 핵심인재 500명 중 한국 출신은 1.4%로 14.6%로 1위인 미국, 13.0%로 2위에 오른 중국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AI 전문 인력 2만2400명 중 한국에서 활동하는 인력은 1.8%에 불과해 인도보다 낮다. 가장 많은 인력이 활동하는 미국은 전체 인력의 절반에 달하는 48%가 활동하며 이어서 중국이 11.3%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같은 인력난은 AI산업의 급성장으로 인력 수급 자체가 불균형하고 교육기관을 통한 인재 육성 자체도 더디게 진행된 여파로 해석된다. 그나마 있는 인력은 고액 연봉에 자유로운 기업 문화가 있는 해외로 향하고, 국내에서는 기존 인력 돌려막기가 반복되면서 장시간의 기술과 지식이 쌓여야 하는 고급 인력 확보와는 멀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AI패권전쟁] 고질적 인재난…키우지도 데려오지도 못했다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 1조 투자…"AI+X 인력 필요"= 정부도 이 같은 AI 전문인력 부족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소프트웨어(SW)·AI를 중심으로 교육체계 개편에 들어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AI·SW 핵심 인재 10만 명 양성 계획’을 마련하고 2025년까지 약 1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AI 전문 지식과 활용 능력을 갖춘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위한 AI 대학원을 올해 2개교 추가 선정해 총 10개교로 확대한다. 대학·기업·연구소 등 개방형 협동 연구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인공지능 교육·연구 허브’를 신규로 구축해 대규모 첨단 AI 연구와 R&D 중심의 최고급 인재 양성도 추진할 계획이다.

다만 이러한 정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 지는 미지수다. 의료, 복지 등 AI가 삶 곳곳으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는 만큼 정부 정책만으로 인재 수요를 빠르게 충족시키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도 많다. 학계에서는 AI 기술을 산업화하고 다른 업종과 융합할 수 있는 인력을 적극 양성해야 인재 부족 현상을 상쇄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최양희 서울대 AI위원장은 "AI와 금융, 의료, 게임, 자율주행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해 연구하는 ‘AI+X’ 전문 인력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활용·인재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집중적인 발전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보고서에서 "응용SW 등 우리나라가 상대적 우위를 갖고 있는 부분은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육성하는 틈새시장 전략을 추진하는 것도 중요하다"라며 "지금까지 발표되었던 관련 정책·전략의 성과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AI 국가전략의 세부 추진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