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70개 기업 참여, 129개사 193건 연계미팅 성사
![사진은 지난해 11월11일 서울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제1회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 승인기업협의회 발족식에서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출처=연합뉴스]](https://cphoto.asiae.co.kr/listimglink/1/2021021008440771270_1612914246.jpg)
사진은 지난해 11월11일 서울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제1회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 승인기업협의회 발족식에서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대구시는 급격히 변화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지역기반이 강한 전통산업과 신기술 분야 등 다른 업종 간 연계·협업할 수 있는 산업융합네트워크 참여기업을 상시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대구시는 이(異) 산업 간 연계·협력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2017년부터 미래산업육성추진단을 운영해왔다. 올해는 지역 전통산업과 5+1 미래산업 간 연계·협력을 강화하는 '산업융합플랫폼 운영 지원사업'으로 사업명을 변경해 추진한다.
'5+1산업'은 물, 의료, 미래형자동차, 스마트에너지, ICT융합, 기계로봇을 뜻한다.
주요 내용은 산업융합네트워킹데이 개최(연 3회 이상)와 산업융합R&BD지원(최대 8000만원)으로, 지난해와 달리 5+1 미래산업 위주에서 섬유, 뿌리소재 등 전통산업과의 융합을 확대해 추진한다. 또한 2, 3차 부품 공급업체가 많은 지역산업 특성을 감안해 경북과 수도권 등을 포함한 역내외 기업의 네트워크 참여도 확대할 계획이다.
기업 간 협력을 통한 우수제품(기술)에 대한 사업화 지원 한도도 기존 40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대폭 늘린다. 지원대상 우수제품(기술)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다.
대구시는 지난해 코로나 여파에도 불구하고 129개 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온·오프라인 총 3회에 걸친 산업융합네트워킹데이를 개최, 총 193건의 협력미팅을 성사시켰다. 또한 연계미팅 기업 간 협업으로 발굴된 융합제품(기술) 중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7개 우수과제를 지원한 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재)대구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승대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기존사업과 차별성 확보를 위해 5+1 미래산업과 전통사업 간 연계·융합을 통한 미래지향적 비즈니스 발굴에 주력해 나가겠다"며 "기업·산업·기술 간 협력으로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우수제품이나 기술을 적극 발굴·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영남취재본부 박동욱 기자 pdw120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