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2020년에는 국내외 신재생 에너지 관련 정책들이 발표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여왔다. 2021년에는 신재생 에너지 정책들이 보다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돼 이들 기업들의 중장기 실적 성장도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지난 한 해 그린뉴딜 정책 및 향후 기대감에 주가 상승을 보였던 종목들이 올해에도 추가 상승할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1일 NH투자증권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 대해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해 정책이 구체화됐고, 2025년까지 중기 보급 계획도 상향 조정됐다는 점에 있어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정책에는 전체 발전량에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기존 2030년 21.6%에서 2034년 25.8%로 4.2%포인트 상향하고, 2034년까지 65.1GW의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신규 보급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NH투자증권은 이중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가 29.9GW에서 42.7GW로 상향되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향후 2050년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효율 개선, 잠재량 확충, 전력 계통 전환, 재생에너지 단점을 보완해줄 수소에너지 확산이 필요한데 중장기적 관점에서 해당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강화는 필연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국내 신재생에너지관련 기업들의 중장기 밸류에이션 상승을 뒷받침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정연승 연구원은 "이번 정책은 보급, 수요, 시장, 산업(경쟁력), 전력 인프라의 5개 분야에 걸쳐 있다"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보급 정책 측면에서는 국유지를 활용한 대형발전 단지 도입이 가능할 전망이며 수요 측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수요처가 기존 발전사에서 다변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산업 측면에서는 핵심 기술 국산화를 지원함에 따라 전력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설비 투자가 뒤따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정책 제시보다는, 세부 정책 구체화 측면에서의 정책 발표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내 시장만 보면 향후 후속 정책으로는 수소 생태계 구축 및 강화를 위한 HPS(수소발전의무화) 제도 도입, 전기사업법 개정을 통한 재생에너지 사업자와전력 소비자와의 직접 전력 거래 계약 가능,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비율 상향, 공급의무자 확대 등의 정책이 잇따를 것이라고 봤다.
정 연구원은 특히 수소, 해상풍력이 세부 발전원 중 성장세가 가장 돋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소의 경우, 기존 재생에너지와의 경쟁 관계에서 독자 체계로 구분해 수소 생태계 확대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면서 20201년에도 수소 관련 정책 발표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해상풍력은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발전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는 발전원이며, 국내외에서 2023년부터 설치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해상풍력 밸류체인에 대해서도 긍정적 시각을 유지했다.
정 연구원은 "신재생에너지 투자 관점에서 밸류에이션이 빠르게 확장된 상황에서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 있는가에 대한 우려는 존재한다"며 "다만 세부 정책이 구체화되고, 본격적인 자본 투입을 통한 신규 프로젝트 증가가 예상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기업들의 밸류에이션 하락을 야기할 만한 요인도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현 시점에서는 세부 정책 구체화가 실제 실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업으로 계속적으로 긍정적 시각을 유지해야한다고 판단한다"면서 "수출 비중이 높거나 중장기 외형 성장 계획을 구체화, 글로벌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기업 중심으로 중장기 보유 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삼성 시총 140조 증발하고 포스코 반토막 날때 오...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