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나는 해결사다, 복잡한 도시문제를 푸는 …” 국토데이터 쥐고 해결사 나선 대학원생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UNIST 조수경 대학원생, 2020 국토도시 데이터 분석과제 최우수상 2건 수상
공공데이터 활용해 광양시·안양시 출제 과제 해결책 제시 … 상금 900만원

유니스트 조수경 대학원생.

유니스트 조수경 대학원생.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도시가 가진 복잡한 문제에 대해 가장 ‘모범답안’을 제시한 이는 대학원생이었다.


전남 광양시와 경기도 안양시가 내놓은 난제를 울산과학기술원 대학원생인 조수경 씨가 방대한 국토·도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풀어내 2개의 상을 받았다. 한 대학원생이 도시문제 해결사로 나선 셈이다.

조수경 씨가 해결책을 제시한 광양시와 안양시의 사례이다.


#1. 광양시에서는 총 40곳의 전기차 충전소를 설치할 계획을 갖고 있다. 시민이 가장 필요로 할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지형, 인구, 교통 등 데이터를 활용한 결과 미래 시민의 수요까지 예측한 최적의 장소를 발굴했다.


#2. 안양시는 미세먼지, 소음, 치안 등 다양한 정책을 위해 필요한 복합 센서 설치를 고민하고 있었다. 직접 개발한 모델을 이용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위치를 찾아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이용훈) 조수경 산업공학과 대학원생(지도교수 권상진)은 광양과 안양, 두 도시가 고민하고 있던 문제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해결 방안을 내놓아 각각 앓던 이를 빼줬다.


조 씨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도시문제 해결 플랫폼 ‘COMPAS’를 통해 진행된 ‘2020 국토도시 데이터 분석과제’에서 광양시와 안양시가 출제한 과제를 수행해 2개 부문에서 모두 최우수상을 거머쥐었다.


COMPAS는 지자체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 시민, 대학생들이 해결책을 제안하도록 만든 온라인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다.


올해는 총 3개의 과제가 제안됐으며, 각 과제당 약 30개 팀이 참가했다. 조수경 대학원생은 개인으로 참가해 이중 2개 과제에서 1위를 차지했고, 총 900만원의 상금을 탔다.


두 과제는 각각 ‘광양시 전기자동차 충전소 최적입지 선정’과 ‘안양시 도시데이터 수집을 위한 IoT 센서 설치 위치 선정’에 대한 것이었다.


조 씨는 제공된 공공데이터와 관련 정책을 바탕으로 최적입지 선정 모델을 개발해 각 과제를 해결했다.


그는 “평소 모빌리티 관련 위치 최적화 연구에 관심을 갖고 관련 모델 구현을 진행해왔다”며 “실제 데이터와 정책을 반영한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 공모전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참가했는데 좋은 성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조 씨는 지자체와 정부가 제공한 인구현황, 주요 시설위치, 교통량 등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최적 입지 지수를 설계하고, 최적화된 시설 위치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과제를 수행했다. 관련 정책, 예산 등의 요소도 고려해 현실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광양시의 전기차 충전소 입지는 조 씨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사용자가 필요로 할 지역을 예측한 선제적인 설치 방안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미세먼지 모니터링 등 다양한 도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안양시의 센서 설치 방안에서도 조 씨는 각 센서별 맞춤 위치 선정법을 제안해 눈길이 쏠렸다.


조 씨는 “수상 이후 안양시 관계자분이 실제 설치 과정에 모델을 활용하고 싶다며 도움을 부탁하기도 했다”며 “직접 개발한 모델이 실생활에 적용될 가능성을 인정받아 굉장히 보람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권상진 산업공학과 교수는 “조수경 학생이 연구실에서 쌓은 실력으로 실제 문제해결에 나서 좋은 성과를 거둔 것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번 대회는 현실의 데이터를 활용해 현장의 문제를 푸는 노하우를 익히는 데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시와 안양시의 2020 국토도시 데이터 분석과제 최종결과는 지난달 11월 16일 발표돼 19일 시상식이 진행됐다.

유니스트 조수경 대학원생(왼쪽)과 지도교수인 권상진 산업공학과 교수(오른쪽).

유니스트 조수경 대학원생(왼쪽)과 지도교수인 권상진 산업공학과 교수(오른쪽).

원본보기 아이콘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