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진 올리브유 수입량 13년 만에 최고치
카놀라유, 대두유는 정체나 감소
[아시아경제 최신혜 기자] 웰빙 트렌드가 확산되며 올리브유 사용량이 크게 증가했다. 아보카도, 트뤼프 오일 등 초고가 오일 사용량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12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고급 식용유의 대표 주자인 '버진 올리브유' 수입량은 1만3992톤에 달했다. 2006년 1만5186톤을 기록한 이후 1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버진 올리브유 수입량은 2017년 1만939톤, 2018년 1만3419톤 등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올해 1∼8월만 보더라도 1만1075톤으로 전년 동기보다 26.5%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집밥' 수요 증가에 따라 수입량이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식용유 소매시장 규모는 약 3112억원으로 2016년 3229억원보다 약 3.6% 감소했다. 국내 식용유 시장은 카놀라유(35.7%)와 대두유(23.0%) 점유율이 절반 이상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간편식 소비 확대와 외식 소비의 증가로 가정에서의 식용유 사용은 감소하는 추세"라며 "요리를 할 때 기름을 적게 사용하려는 건강 트렌드와 기름이 필요 없는 에어프라이어의 보급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카놀라유와 대두유가 정체나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올리브유의 소매 매출은 2016년 448억원에서 2017년 463억원, 2018년 487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올리브유의 국내 식용유 소매 시장 점유율도 같은 기간 13.9%에서 15.7%까지 커졌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대부분의 식용유 매출이 하락했지만, 샐러드와 파스타 등에 주로 쓰이는 올리브유와 아보카도유 등 '기타 식용유'의 매출은 증가했다"며 "원재료의 기능성과요리에 따라 세분된 취향을 적극적으로 구매에 반영하는 소비 트렌드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아보카도 오일이나 트뤼프(송로) 오일 등 다양한 고급 식용유의 입지도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2018년부터 올해까지 식용유 검색 결과를 분석한 결과 아보카도 오일, 트뤼프 오일, 올리브 오일은 물론 'MCT오일'(코코넛 오일의 지방을 추출ㆍ강화한 식물성오일)이나 '화유'(불맛 내는 고추기름) 등이 검색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최신혜 기자 ss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아이 낳은 직원에 '28억' 준 회장님 "돈만 준다고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