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질병이나 유전자 정보도 가명 처리됐다면 상업적 활용이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황현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6일 보험법리뷰 '가명정보 활용의 쟁점과 과제' 보고서에서 "민감정보도 가명정보 활용 특례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다.
가명정보란 개인정보 중 정보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일부 정보를 삭제하거나 대체함으로써 추가정보 없이는 정보주체를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한 정보다.
서로 다른 정보를 결합해서 분석하거나 가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커서 상업적으로 유용하지만 식별 가능성이 완전히 제거된 '익명정보'와는 달라 정보주체가 재식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따른다.
황 연구위원은 "가명정보 활용은 '데이터3법' 개정의 핵심사항이지만, 가명처리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과 가명정보 결합에 따른 재식별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그 활용에 제약이 발생하고 있다"며 "가명처리된 민감정보의 '상업적 활용'에 대해서는 우려와 반발이 있다"고 진단했다.
민감정보는 정보주체의 권익을 침해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처리가 제한되는데 '가명처리된 민감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한 제한이 적용되는지는 불분명하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신용정보법상 관련 질의에 대해 개인의 질병정보 등도 가명처리를 한다면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활용할 수 있다고 해석했다.
황 연구위원은 "가명정보에 관한 특례가 민감정보 이외의 정보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면 이는 입법자의 의도나 개정법의 체계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데이터3법 개정 취지에 따라 가명정보 활용을 활성화하되 가명처리의 안전성을 제고하고 위반 시 엄격한 제재를 부과함으로써 불안과 우려를 해소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 헌재 출석 때 '출장 스타일링' 요구, 법무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