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재난지원금 한달…대형마트만 한숨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유통가 대부분 특수 맞이
편의점, 비싼 제품·주류 잘 팔려

재난지원금 한달…대형마트만 한숨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 차민영 기자]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이 지급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유통업계의 희비가 엇갈렸다. 유통가 대부분이 재난지원금 특수로 나타난 소비 진작 효과에 함박웃음을 지었지만 유독 대형마트만 매출이 감소해 울상이다.


특수 못 누린 대형마트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10일까지 대형마트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 이상 감소했다. 롯데마트 전체 매출액은 7.6% 줄었다. 대용식, 축산, 주류 등의 판매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0.2%, 5.4%, 3.5% 빠졌다. 이마트도 지난달 매출이 4.7% 역신장했다. 매출 상위 품목인 축산, 과일, 채소 등의 판매가 부진했다. 소고기, 돼지고기, 과일, 채소 매출은 각각 13%, 11%, 12%, 8% 감소했다. 정부가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종, 온라인 전자상거래업종 등에서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도록 방침을 정하면서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수 있는 하나로마트, 슈퍼, 편의점 등으로 소비자가 발걸음을 돌린 결과로 보인다.

수혜처, 매출 급증

같은 기간 하나로마트 양재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9% 증가했다. 소고기 등심(46.5%), 양지(32.1%), 삼겹살(54.6%), 수박(35.5%), 참외(22.1%) 등의 판매가 좋았다. 대형마트에서 판매가 부진하던 품목과 겹친다. 하나로마트 관계자는 "재난지원금이 매출이 증가하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재난지원금이 소진되면 매출 증가율은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편의점의 경우 비싼 제품들의 매출 증가 폭이 컸다. 편의점 CU에서는 와인(78.8%), 양주(55.6%), 맥주(10.6%) 등 주류 매출이 늘었다. 반려동물용품(38.9%) 등 평소 구매 빈도가 낮은 상품들에 대한 수요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에서 식사하는 빈도가 높아지면서 즉석식(21.2%)과 식재료(40.0%) 등 먹거리 매출도 증가했다. GS25에서는 어린이용품(512.7%),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소형 가전(446.3%), 육류(238.2%), 양곡(83.2%) 등의 판매가 급증했다. GS25 관계자는 "편의점이 생활 근거리 중심 쇼핑 플랫폼으로 거듭나면서 간단한 먹거리 구매를 넘어 육류, 과일 등 장을 보는 고객이 늘고 있다"며 "재난지원금을 사용하는 고객은 상대적으로 비싼 상품을 주로 구매했다"고 설명했다.


슈퍼의 경우 재난지원금 사용이 가능한 GS더프레시 매출만 늘었다. GS더프레시의 경우 지난달 13~27일 양곡, 채소, 와인 매출이 각각 44.1%, 16.2%, 20.6% 증가했다. 반면 재난지원금 사용이 불가능한 롯데슈퍼는 매출이 20% 줄었다.

e커머스업체와 홈쇼핑업체들은 재난지원금 사용이 불가능한데도 매출이 늘거나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SSG닷컴, G마켓 등은 매출이 각각 41.0%, 21.0% 증가했다. 롯데홈쇼핑은 매출이 10% 증가했으며 GS샵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본격화된 비대면(언택트) 트렌드 영향이 이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형평성 논란은 계속

유통가에서는 재난지원금 사용처를 놓고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을 꾸준히 제기하고 있다. 재난지원금 지급 목적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국민에게 재정적 도움을 주고 소비를 촉진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에도 상대적으로 실적이 좋던 편의점들은 재난지원금 수혜처에 포함되고 가장 큰 타격을 받은 대형마트는 제외돼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 짙어졌다. 특히 대형마트의 경우 협력사의 70% 정도가 농가와 수산업체 등 중소 업체로, 사용처에서 제외한 것은 재난지원금의 당초 지급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의견도 있다. 결국 대형마트만 매출이 감소하며 우려는 현실이 됐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전문대학원장은 "지원금 사용 가능, 불가 업종을 막론하고 업계 공통의 고민거리인 경기 부양과 소비자 편의성 제고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면서 "제도의 근본적 취지인 '내수 활성화'를 위한 사용처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