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연기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우리나라가 세계자연유산으로 신청한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 등재 심사가 7월 이후로 미뤄진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연기된 까닭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최근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 6월29일부터 7월9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던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를 연기한다”고 16일 밝혔다. “일정을 재조정해 조만간 공지하겠다”고 했다. 올해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는 중국 푸젠성 성도 푸저우(福州)에서 한다. 앞서 위원회는 안내문을 통해 “모든 참가자의 건강이 중요한 관심사이며 코로나19 상황에 관한 국내외 보건 당국 권고를 따를 것”이라며 정상 개최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세계유산위원회 회의는 매년 열리는 대규모 국제 문화유산 행사다. 각국에서 참가자들이 모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문화·자연유산을 선정해 유네스코 세계유산목록에 등록한다. 자연재해나 전쟁 등으로 파괴된 문화재나 자연유산을 복구하는 일도 결정한다.
우리나라는 올해 ‘한국의 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신청했다.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에 있는 갯벌 약 1300㎢를 아우르는 연속유산이다.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 등 다양한 생물 종이 서식한다. 세계에서 가장 두꺼운 펄 퇴적층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세계자연유산 자문기구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지난해 9∼10월 현지 실사를 진행했다. ‘등재 권고(Inscribe)’, ‘보류(Refer)’, ‘반려(Defer)’, ‘등재 불가(Not to inscribe)’로 나뉘는 실사 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한국의 갯벌’이 등재되면 한국이 보유한 세계자연유산은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포함 두 건으로 늘어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1만원에 가족이 다 먹는다…냉면 매니아들 '이것'으로 갈아탔다[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4053009542689803_1717030467.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