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미국 월가 대형은행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1분기 순익이 '반토막' 났다. 대출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손충당금을 쌓는 데 자금이 투입됐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1분기 순익이 전년동기대비 46% 감소한 12억1000만달러(약 1조4713억원)를 기록했다. 시티그룹도 1분기 순익이 46% 감소한 25억2000만달러로 집계됐으며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40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 순익이 줄었다.
대형 은행의 수익 급감은 코로나19 영향이 크다. 골드만삭스는 예상 대출 손실과 자산관리 분야에서의 부진이 순익 악화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는 1분기 대출과 관련해 9억3700만달러 가량 손실이 예상된다고 추산했다.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최고경영자(CEO)는 "불가피하게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제적 혼란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면서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계획했던 투자 일부를 축소하고 올해와 내년에 경기 침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계획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BoA도 골드만삭스와 같이 예상 대출 손실로 36억달러를 적립했다. 폴 도노프리오 BoA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최종 대출 손실은 미국 정부의 지원책이 얼마나 잘 작용할지, 일시적으로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된 고객들의 상황이 어떻게 되느냐에 달려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업률 상승을 고려해 올해 말 소비자 손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가장 큰 불확실성은 경제 활동이 바이러스로 인해 얼마나 오랫동안 타격을 입는가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티그룹도 대출 손실 충당금 49억달러를 적립했다. 마크 메이슨 시티그룹 CFO는 "2분기에 추가 충당금 적립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얼마나 될지를 예상하는 건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앞서 전날 1분기 실적을 발표한 JP모건과 웰스파고는 순익이 각각 69%, 89% 급감했다. 금융정보업체인 레피니티브가 취합한 전문가 전망치에 따르면 S&P 500지수에 포함된 기업의 1분기 순익은 전년동기대비 10.2%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