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베이징=박선미 특파원] 올해까지였던 중국의 전기차 보조금 지급이 2년 더 연장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위축된 자동차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대응책이다.
1일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리커창 총리는 전날 상무위원회 회의를 열고 자동차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신에너지 차량 보조금 및 등록세 면제 종료 시점을 올해로부터 2년 더 연장한다고 밝혔다. 중국에서는 전기차 보조금이 차량 가격의 최대 절반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전기차 판매가 위축될 수 밖에 없다.
중국은 당초 올해 말까지만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신에너지 차량에 보조금을 주고 이후에는 보조금을 폐지할 계획이었다. 여기에 미·중 무역전쟁,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시장이 위축되면서 중국 자동차업계는 판매부진 위기에 놓였다.
이미 2018년과 2019년 두 해 연속 역성장한 중국 자동차 시장은 코로나19가 확산됐던 올해 1∼2월 누적 자동차 판매량이 223만8000대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0% 감소하는 부진을 경험했다. 또 2월 판매된 자동차 중 전기차 등 신에너지 차량은 1만2908대로 지난해 동기대비 75.2% 급감했다.
중국의 자국 배터리 기업 육성과 한중 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갈등 이후 막혔던 한국 기업의 전기차 배터리 중국 시장 진출이 서서히 열리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전기차 보조금제도 연장 소식은 한국 배터리업계에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국이 전기차 보조금 지급 종료시점을 2년 뒤로 연기해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면 한국 업체의 배터리 출하량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중국 전기차 보조금 추천 리스트에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가 포함된 데 이어 올해 3월 리스트에는 LG화학 배터리가 탑재된 테슬라 모델3와 삼성SDI가 배터리가 탑재된 충칭진캉 SUV 모델이 포함됐다.
베이징=박선미 특파원 psm82@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