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두산重 급한 불 껐지만, '연내상환 4兆 부채' 자구책 절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정부, 1兆 유동성 긴급수혈
영업이익 3070억원인데
차입금 이자 빼면 순손실

석탄·원전 등 주력사업 침체
지속된 수익성 악화 원인
고정비 절감 등 구조조정 속도

정부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두산중공업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통해 1조원을 수혈하기로한 27일 서울 동대문구 두산타워 건물이 보이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정부가 자금난을 겪고 있는 두산중공업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통해 1조원을 수혈하기로한 27일 서울 동대문구 두산타워 건물이 보이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정수 기자, 이기민 기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서 1조원을 긴급 수혈을 받은 두산에너빌리티 은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책 마련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27일 두산중공업과 은행권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은 이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두산중공업과 1조원 규모의 대출 약정을 맺었다. 두산중공업의 대주주인 ㈜두산은 보유하고 있는 두산중공업 보통주, 두산타워, 두산중공업의 자사주 등 총 1조원 규모의 담보를 제공했다.

두산重 급한 불 껐지만, '연내상환 4兆 부채' 자구책 절실 원본보기 아이콘

◆당장 급한 불은 껐지만…여전히 불안불안= 국책은행들의 1조원 긴급 수혈에도 두산중공업의 사정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말 별도 기준 두산중공업의 차입금은 4조9300억원 규모다. 문제는 차입금의 대부분이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단기차입금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말 단기차입금은 2조6600억원, 유동성장기부채는 1조5600억원이다. 어림잡아 4조2000억원을 연내 갚거나 차환해야 한다.


자체 차입금 상환 능력도 현저히 저하돼 있다. 두산중공업의 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은 3070억원으로 차입금 이자 등을 제외하고 나면 순손실 상태다. 지난해에도 5338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사실상 벌어들이는 돈으로는 차입금 이자만 납부해도 빠듯한 상황인 것으로 평가된다. 신용도 악화로 회사채 발행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금융시장이 경색되면서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 등의 초단기 자금조차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이 지원하는 1조원으로 당장에 급한 불을 끌 수는 있겠지만, 추가적인 자구책이 나오지 않으면 단기차입금 해결도 어렵다는 게 시장의 평가다.


두산중공업의 사정이 어려워진 이유로는 석탄ㆍ원자력발전 등 주력 사업의 글로벌시장 침체와 정부 전력 수급 정책 변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가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신한울 3·4호기 등 신규 원전 6기와 3조원 규모의 석탄화력발전소 3기 수주 물량이 현 정부의 탈원전ㆍ친환경 발전 정책으로 8차 계획에서 제외되면서 10조원가량 되던 수주금액이 사라졌다. 이 때문에 2012년에 별도 기준 연간 매출이 7조7000억원을 웃돈 두산중공업은 지난해에는 매출이 3조원대로 줄었다. 정상적인 영업활동으로는 금융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웠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구책 마련 골몰…구조조정 속도 낼 듯= 두산중공업은 자구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고정비 지출 절감을 위한 인력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지난달 말 부터 만 45세(1975년생) 이상 직원 2600여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았다. 현재 직원 650명이 명예퇴직을 신청해 임원 면담 등 절차가 마무리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일부 인력의 휴업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두산중공업은 휴업 대상 직원에게 임금의 70%를 지급하겠다고 했지만 노조가 이를 거부해 협의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에도 두산중공업은 임직원 20%를 감원하고 직원 2600명에 대해 순환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두산인프라코어, 두산밥캣 등 계열사에 직원 300여명을 전출 보냈다. 또한 지난해 말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 ㈜두산에서 두산메카텍㈜ 주식 294만여주(당시 2382억원 규모)를 현물로 출자받아 자본을 확충한 바 있다.


아울러 중동과 동남아 등 해외시장의 영업을 지속하면서도 가스터빈 국산화·풍력·수소, 원자력발전소 해체 등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우선 두산중공업은 중동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올해 2조원대 규모의 석탄화력발전과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수주를 앞두고 있다. 또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 등과 각각 원자력발전소 해체, 가스터빈 개발 등과 관련해 꾸준히 협의하면서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한국전력은 중부·서부·남부·동서발전 등 4개 발전 자회사 및 두산중공업과 공동으로 가스터빈 기동장치를 개발해 상용화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두산중공업의 경영정상화에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원자력발전소 건설계획을 당분간 지속해달라는 요구도 나온다. 두산중공업 노조와 창원상공회의소는 이달 24일 '지역 일자리와 삶의 터전을 지켜주십시오. 신한울 3ㆍ4호기 건설 재개를 간절히 호소합니다'라는 제목의 호소문을 통해 "신한울 3ㆍ4호기 원전 건설 중단으로 생산해놓은 제품의 가치는 고스란히 비용으로 전락했고 분주히 돌아가던 사업장의 열기는 임직원들의 한숨으로 채워지고 있다"고 정부에 호소했다.


한편 두산 내부에서는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을 비롯한 총수 일가와 경영진이 경영정상화를 위해 사재를 출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정수 기자 agrement@asiae.co.kr
이기민 기자 victor.le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