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을 재가동해 마스크를 생산할 경우 하루 1000만장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통일부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이 마스크만 생산한 전례가 없어 정확한 생산량을 추산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이날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개성공단에서 마스크를 생산하자는 제안의 취지는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 을 극복하자는 것이므로 충분히 공감은 한다"면서도 "그러나 마스크를 실제로 생산하는데 따르는 현실적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마스크 생산업체 1개와 70여개 봉제공장, 그리고 3만 5000명의 북한 근로자가 투입됐을 때 면 마스크를 하루에 1000만장 생산할 수 있다는 추산이 있다"면서 다만 "여기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부분들은 약 70여개 공장을 가동하는 것이고, 우리가 할 수 없는 부분들은 근로자 투입 부문"이라고 설명했다.
3만5000명의 노동자를 공단에 투입하는 것은 전적으로 북한의 결정에 달렸다는 것이다. 그는 "북측과 협의 진행되어야 알 수 있는 문제"라면서 "우리가 북측 인원에 대해 독단적으로 몇 명이 일을 할 수 있다고 밝히긴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개성공단 재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공단 재가동은 현실적인 문제이기에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진하는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현실적 여건 중 하나로, 북한이 국경을 완전히 차단하고 방역에 집중하고 있는 사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개성공단 마스크 생산과 관련해 미국측과 협의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이 당국자는 "제가 알기로는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북한에 마스크가 아닌 진단키트를 보낼 계획은 없느냐는 질문에는 "기본적으로 남북간 방역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면서도 "다만 현 단계에서 국내 사정과 북한 상황, 국제 동향을 봐가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 나가야 할 것 같다"고 이 당국자는 말했다.
한편 지난 5일 김진향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은 한 지역언론에 기고한 글에서 개성공단 업체 한 곳은 월 100만 장의 위생 마스크를 생산할 수 있고, 50여개 사는 면마스크 제조, 64개사는 위생 방호복 제조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최근에는 더불어민주당, 정의당도 이런 주장에 힘을 싣고 나섰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고강도 대북제재와 북한의 냉랭한 대남 정책기조가 이어지는 현실에서 이런 제안이 실현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북한의 호응 여부도 불투명하다. 북한은 코로나19 사태가 불거지자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하고 하늘·바다·땅길을 전면 통제하는 초강수를 뒀다. 특히 지난 1월 30일 남한 내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자 남측과 협의를 거쳐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마저도 잠정 폐쇄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성인 10명 중 9명 "경험있다"…바뀐 음주문화에 '...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