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지난해 반도체 경기 둔화로 한국의 전체 수출품목 중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대로 줄었다. 자동차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친환경차 판매 호조세 등에 힘입어 2위에 올랐다.
19일 한국무역협회와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상품 수출액은 3042억3000만달러로 전체 5423억3000만달러의 56.1%였다. 전년 58.5%보다 감소했는데, 수출 품목 다양화로 해석된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 수출액은 939억4000만달러로 전년 1267억1000만달러보다 25.9% 감소했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7.3%로 2013년부터 7년 연속 1위를 유지했지만, 비중은 2년 만에 다시 10%대로 쪼그라들었다.
앞서 지난 2018년 반도체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9%로 20% 선을 돌파했다.
지난해 두 번째로 많이 수출한 품목은 자동차로 7.9%였다. 자동차 수출액은 430억4000만달러로 3년 만에 다시 2위가 됐다. 수출 대수 기준으로 보면 전년 대비 1.9% 줄었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싼 SUV, 친환경차 등의 수출이 확대되면서 수출액은 늘었다.
석유제품 7.5%, 자동차부품 4.2%,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3.8%, 합성수지 3.7%,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3.7%, 철강판 3.4%, 무선통신기기 2.6%, 플라스틱 제품 1.9% 등이 뒤를 이었다.
플라스틱 제품은 컴퓨터를 밀어내고 2015년 이후 4년 만에 다시 10대 수출 품목이 됐다.
수입상품 1위는 원유로 2000년 반도체를 제치고 1위가 된 뒤 19년 연속으로 최대 수입품이었다. 단,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의 15.0%에서 13.9%로 줄었다.
수입상품 2위는 반도체 9.3%였다. 천연가스 4.1%, 석유제품 3.5%, 석탄 2.8%, 무선통신기기 2.7%, 자동차 2.4%, 컴퓨터 2.3%, 정밀화학원료 2.3%, 의류 2.2% 등이 뒤를 이었다.
반도체 제조용 장비는 2018년 수입 비중 5위에서 1년 만에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 가서 꼭 먹을래" 난리였는데…수출 소식에 '...
마스크영역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단독]](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3062913205580712_1688012454.jpg)

![동대문역 인근 창신동 정비지구 21개→15개로 조정[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009380924981_1763599089.jpg)



![[초동시각]의사들이 '지역에 남을 이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2010430646661A.jpg)
![[아경의 창]정가로 문화를 즐길 권리를 지켜라](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908413901043A.jpg)
![[시시비비]시대착오적 유통법 일몰 연장](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269/2025111911093956281A.jpg)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