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새해 부동산 시장에서 주택시장 못지 않은 변동성이 점쳐지는 시장은 상가와 토지 부문이다. 12·16 대책으로 주택시장에 초고강도 규제가 가해지면서 이탈한 시중의 부동자금 유입이 점쳐지고 있어서다. 다만 전문가들은 풍선효과를 우려하면서도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이어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 상가는 '이원화'= 선종필 상가뉴스레이다 대표는 새해 상가 시장의 '이원화'를 예상했다. 그는 "실물 상가 경기는 저조하겠지만 투자시장은 반대로 자금이 유입될 수 있다"고 점쳤다. 주택시장 규제 강화로 이탈 수요가 상가시장으로 들어올 수 있겠지만 경기 침체에 따른 내수시장 부진 탓에 시장 자체는 저조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도 "유망하다고 전망하기 힘들다"며 "오프라인 소매 매장이 하향세를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잘되는 상권의 상가들은 아직 유동인구가 많지만 외곽 상권의 상황이 좋지 않다"며 "내수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전망이 어두울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선 대표는 풍선효과가 제한적으로 일어날 가능성도 제기했다. 그는 "택지개발 등 신규공급이 이뤄지는 시장에서 '착한 분양가'의 상가가 공급된다면 이에 대한 수요는 많을 것"이라고 봤다. 조 연구원은 수익형 부동산인 오피스텔의 경우 1인 가구 비중이 늘고 있는 만큼 직주근접형이거나 교통 여건이 좋은 오피스텔은 인기를 끌 것으로 내다봤다.
◆ 토지시장은 '보상비'가 관건= 신태수 지존 대표는 "수도권 토지시장은 상승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부의 지속적인 주거복지 확대 정책과 수도권 30만 가구 공급 정책을 요인으로 꼽았다. 공공택지 지정이 잇따르면서 땅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45조원에 이를 것으로 잠정집계된 토지 보상비를 최대 변수로 꼽았다. 막대한 토지 보상비가 주택시장은 물론 인근 토지시장으로 재유입될 경우 상호작용을 일으켜 부동산 시장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 대표는 지방 토지시장의 경우 광역교통망 확충 등 일부 호재지역을 중심으로 제한적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국 땅값은 0.34% 상승하면서 108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갔다. 지난해 누계로는 3.2% 뛰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무슨 돈으로 다들 집 사나 했더니…2030은 주식, 4...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