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AI 패권' 기로에 선 한국..."양과 질에서 격차"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선두주자 美中과 기술격차도 큰데 인재 수는 비교조차도 안돼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이진규 기자]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과 야후재팬 운영사 Z홀딩스의 경영 통합이 인공지능(AI) 분야 '인재 대란'을 가져올 것으로 분석되는 배경은 가뜩이나 이 분야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미국이나 중국의 이른바 'AI 패권'에 맞서기 위해서는 AI 전문 인력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라인과 야후재팬을 합쳐 세계를 리드하는 AI 기술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실현하려면 무엇보다 AI 인재의 지속적인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 하지만 이런 대규모 수요는 현재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 AI 전문가를 스카웃하기 녹록치 않은 상황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19일 미국과 중국 등의 글로벌 AI 공룡 기업에 맞서는 경쟁력 확보라는 라인과 야후재팬 통합의 목표가 공식화되면서 당장 글로벌 AI기업들과의 AI 기술력 격차를 메울 수 있는 대규모 인재 확보전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AI 패권' 기로에 선 한국..."양과 질에서 격차"
AD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중국과의 AI 기술 격차 = 문제는 AI 분야에서 이미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며 앞서 나가고 있는 미국과 중국과의 격차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올해 낸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1999년부터 2017년 세계에서 등록된 10만여건의 AI 특허 중 37%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고 미국은 24.8%였다. 반면 한국은 8.9%에 불과했다. AI 기업 수에서도 지난해 기준 미국은 2039개, 중국은 1040개로 나란히 1,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베이징은 AI 특허 활동이 가장 활발한 도시로 1만 건 이상의 AI 특허가 나왔고 세계 각 도시 중 AI 기업 수가 가장 많은 도시로도 꼽혔다. 하지만 같은 조사에서 한국의 AI 기업은 26개, 일본은 40개에 그쳤다.


또 국가별 글로벌 AI 인재 수를 봐도 미국은 2만8536명, 중국은 1만8232명으로 조사된 반면 한국 2664명이었다. 캐나다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집계한 박사급 이상의 AI 전문가 수에서도 우리나라는 170명으로 1만2027명인 미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 김현철 한국인공지능협회 사무총장은 "학문적 측면에서 미국에 비해 국내 AI 현실이 뒤처져있는 것은 사실이고 한국과 일본에서 AI 인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고 했다.


◆AI 인재 확보전 가열 = 이 같은 간극을 극복하고 미래 경쟁력의 성패를 좌우할 AI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계 각국이 국가 차원의 전략을 수립하고 각종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가 최근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글로벌 AI 연구 벨트를 만들겠다는 전략을 발표한 것도 미국과 중국의 기술력에 맞설 수 있는 새로운 세력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업계에서 원하는 AI 전문 인력 수급은 좀처럼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AI 분야 주요 혁신기업들을 조사한 결과 61.7%의 기업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의 장애요소로 '인력 부족'을 꼽았을 정도다. 이는 자금 부족(46.8%)이나 법제도 규제(42.6%) 등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호소하는 애로사항을 뛰어넘는 수치였다. 그 만큼 AI 분야에서 인재를 확보하는 게 어렵다는 얘기다. 이에 대해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원장은 "AI는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강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돼 관련 인재 역시 부족한 상황"이라며 "학계에서도 AI 인재를 많이 양성하기 위해 현재 노력하고 있지만 진척 속도가 워낙 빠르다보니 인재 배출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네이버의 라인과 야후재팬이 통합을 통해 1억명 이상의 사용자 데이터를 쌓고 이를 기반으로 AI 인재 확보전에 뛰어드는 것이다. 정 원장은 "검색엔진으로 시작한 네이버는 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AI 개발에서 유리하다"며 "AI 시대를 리드하기 위해선 빅데이터 분야와 AI 분야의 인력을 함께 늘려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사무총장도 "AI 인재를 양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반 개발자들에게 AI 툴을 다룰 수 있도록 기본 소양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이진규 기자 jkm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