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SK·LG 맞소송]격화된 배터리 집안싸움…멀어지는 글로벌 주도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SK이노베이션, 美서 LG화학 배터리 특허침해 맞소송

강경대응 나선 SK이노 특허침해 근거 확보한듯

LG화학도 적극대응 방침


폭발적 성장 예고된 시장

글로벌 업체들 증설경쟁

국내 업체간 '승자없는 싸움'

점유율 경쟁서 뒤쳐질까 우려

[SK·LG 맞소송]격화된 배터리 집안싸움…멀어지는 글로벌 주도권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SK LG 가 차세대 동력 사업인 2차전지(배터리) 사업을 놓고 법정 싸움을 하게 됐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LG계열사인 LG화학 과 SK계열사인 SK이노베이션 이 전기차 최대 시장인 미국 패권을 잡기 위한 기싸움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간 맞소송 사태가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양측이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 파나소닉, 중국 CATL과의 치열한 시장 점유율 경쟁에서 뒤쳐질 것이란 우려도 높다.


◆SK의 반격…배경은? = 지난 4월, LG화학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2차전지 핵심기술 특허침해 혐의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와 델라웨어 연방법원에 제소하면서 양측의 싸움이 시작됐다.

이때만 해도 SK이노베이션은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국내 기업간 법정다툼을 해외로 확전하는 것에 대해 '국익 훼손의 우려가 있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피했다. 지난 6월 국내 법원에 명예훼손 손해배상 및 '영업비밀 침해 없다'는 채무부존재 확인 청구 소송을 진행한 것이 고작이다.


그랬던 SK이노베이션이 180도 달라졌다. 4개월만에 특허침해에 강경대응하기로 입장을 바꾼 데는 더 이상 '아니면 말고 식'의 소송을 묵과할 수 없다는 판단과 더불어 특허침해와 관련해 구체적인 근거를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SK가 소송을 공식으로 제기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높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LG화학과 LG전자가 SK의 특정 기술에 대해 특허를 침해했다는 점을 소송에서 밝히게 될 것"이라며 "우리에게 승산이 있다고 판단해 소송으로 가게 됐다"고 말했다.


◆강경한 LG, 기술 침해는 SK= LG 입장은 확고하다. LG는 SK이노베이션이 LG전자와 LG화학을 기술 특허침해 혐의 대상으로 동시에 거론하자 다소 격앙된 분위기다. 더이상 계열사 문제가 아닌 그룹 전체의 문제로 부각된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SK가 여러 경로를 통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입장을 나타내며 여론전을 벌이고 있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LG는 법적 소송에 대해 냉정한 자세로 대응할 방침이다. LG화학은 앞서 이달 초 미국쪽 대표 법률대리인을 기존 덴튼스(Dentons)에서 세계 1위 로펌인 미국 레이섬 앤 왓킨스(Latham & Watkins)로 교체했다. 덴튼스 US는 다국적 로펌 다청 덴튼스의 미국 법인이다.


LG화학 측은 "대표 로펌 변경은 소송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결정한 것"이라며 "대표 변호사와 대표 로펌만 교체되는 것 일뿐 기존 덴튼스가 법률대리인에서 제외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승자 없는 치킨게임… 배터리 주도권 뺏기나 = 양사간 소송전이 격화되면서 아직 본궤도에 오르지 못한 배터리 사업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오는 2025년을 기점으로 전기차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오는 2025년에는 메모리 반도체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체 상태인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배터리는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으로 연 평균 40%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글로벌 배터리 업계가 증설경쟁에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2025년까지 200GWh, SK이노베이션 100GWh 증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시장 1위이자 글로벌 1위 업체인 CATL 역시 같은기간 200GWh 수준으로 증설하겠다고 공언했다.

이같은 맥락에서 볼때 양사 모두 배터리사업의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간 소송전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쏟아붓고 있어 배터리 경쟁력을 잃게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