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마지막 날인 토요일 31일 중국발 미세먼지의 유입으로 수도권과 충청, 전북, 대구 등의 미세먼지 농도는 '나쁨' 수준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미세먼지는 새해 첫날인 1월 1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일각에서는 뿌연 해돋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오전 11시를 기준으로 서울의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당 43㎍(마이크로그램, 1㎍=100만분의 1g)으로 나쁨 수준을 기록했다. 경기와 인천도 각각 51㎍/㎥, 37㎍/㎥를 기록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31일과 새해 첫날까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도권과 충청, 전북, 대구 등 전국 곳곳에서 미세먼지와 안개에 가린 해돋이를 봐야 할 가능성이 있다.
그 밖의 권역에서는 보통 수준이 예상되지만,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가 축적되는 데다 새로운 미세먼지가 유입될 경우 강원 영서와 대전, 광주, 울산, 경북은 일시적인 나쁨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1월 1일에는 31일보다 기온이 1~6도가량 올라 한파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기상청에 따르면 31일 예상 아침 최저기온은 -15~0도, 낮 최고기온은 1~8도다.
해맞이 행사는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중단됐다가 올해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개최된다.
한편 해넘이는 31일 오후 5시 5분부터 시작되며 계묘년 첫해는 오전 7시 26분에 독도에서 처음 떠오른다. 이후 부산 7시 32분, 댁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 7시 42분, 서울 7시 47분 순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