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현 "실질적인 인센티브로 기업들의 자발적 동반성장 도모해야"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공정거래위원회가 동반성장 우수기업에 직권조사 면제를 인센티브로 제시하고 있지만, 많은 기업들이 직권조사를 받아 온 것으로 드러났다.
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위 조사기업 목록을 전수분석한 결과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우수' 또는 '우수' 등급을 받아 인센티브를 한 번이라도 받은 133개사 중 62개사(46.6%)가 111건의 조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무혐의 처리한 건은 13건(11.7%)였다.
전수분석 기간은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가 공표된 지난 2013년부터 올 9월까지다.
자료=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해 최우수 명예기업(3년 이상 연속 최우수)이라고 발표한 20개 업체 중에서도 인센티브 기간에 직권조사를 받은 기업이 10개(18건)에 달했다.
해당 업체는 네이버(
NAVER
NAVER
0354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6,750
전일대비
3,250
등락률
+1.39%
거래량
660,112
전일가
233,5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최수연 네이버 대표, UN 글로벌콤팩트 신임 이사 선임배당소득 분리과세 완화 기대…고배당株 강세 이어질까대주주 논란 잠재우고 상승 모멘텀에 힘 보탠다
close
),
대상
대상
0016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300
전일대비
100
등락률
-0.43%
거래량
25,652
전일가
23,4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오늘의신상]"3분 간편한 육수"…'국물내기 한알' 美·캐나다 진출[오늘의신상]대상 종가, 칼칼하고 깊은 맛 담은 '전라도 맛김치'대상 청정원 '로우태그', 100일만에 매출 100억원 돌파
close
,
CJ제일제당
CJ제일제당
0979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8,5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0.42%
거래량
21,178
전일가
237,5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코스맥스, CJ제일제당과 맞손…'PHA 적용 화장품 패키지' 개발[오늘의신상]"한정판 황금색 스팸"…CJ제일제당, 추석 선물세트 186종코스피 시총 규모별 지수 정기변경…7개 종목 대형주 편입
close
,
SK
SK
0347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29,500
전일대비
2,500
등락률
+1.10%
거래량
109,103
전일가
227,0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SK그룹 8000여명 신규 채용, 취준생 AI·반도체 역량강화 지원"코스피, 연말까지 3700포인트 달성 가능"최태원 회장 제안 '울산포럼 2025' 개최…"기술과 문화로 잇다"
close
, SK건설,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
0519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91,50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28,420
전일가
291,5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Why&Next]태광 품에 안긴 애경산업…'K-뷰티 신화' 다시 쓸까사조그룹, 공시 첫해부터 '상생 낙제점'…하청업체 대금 절반만 현금 결제[Why&Next]'1조 실탄' 쥔 LG생활건강…'알짜 음료'와 헤어질 결심, 왜?
close
,
LG화학
LG화학
0519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00,000
전일대비
8,000
등락률
+2.74%
거래량
236,874
전일가
292,0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화학, 구조조정으로 내년부터 회복 가시화 전망""사업재편 서류 제출하라"…정부, 꿈쩍않는 석화업계 압박LG화학, 中 자본 줄이고 토요타통상 합류…美 시장 노린다
close
, 유한킴벌리주식회사,
KT
KT
0302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1,400
전일대비
400
등락률
+0.78%
거래량
178,907
전일가
51,000
2025.09.18 13:27 기준
관련기사
황정아 의원 "KT 소액결제 축소·은폐 의혹"…숨은 피해 더 커지나 KT 소액결제 사태에 220명 순감…대규모 이탈 아직은 '잠잠' 과기부장관 "KT 사태 초동대응 늦어 반성…위약금 면제 적극 대응"
close
, 현대엔지니어링이다.
윤 의원은 "동반성장지수 평가결과를 발표할 때 직권조사를 전부 면제해주는 것처럼 하고 공정위 내부기준(예규)에서 인센티브를 준 기업을 직권조사할 수 있는 규정을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이 입법조사처로부터 받은 조사 회답을 보면 기획재정부, 법무부, 국세청, 동반위는 연도별로 해당 기업에 인센티브를 적용하고 그 실적을 관리하고 있다. 공정위만 인센티브 관리 자료가 없어서 관리현황 자료에서 빠져 있다고 꼬집었다.
윤 의원은 "정부 방침에 맞게 동반 성장을 잘한 기업에게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자료=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
원본보기 아이콘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