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지난해 건축 인허가 면적이 전년 대비 6% 이상 줄어들며 3년째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인허가 면적이 2016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고, 지방은 2017년부터 2년째 감소했다.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건축 인허가 면적은 2017년 대비 6.2% 감소한 1억6028만5000㎡를 기록했다. 지난 2015년 1억9065㎡로 정점을 찍은 이후 3년째 감소세다. 지역별 허가 면적은 수도권이 10.7% 줄어든 7164만5000㎡, 지방은 2.3% 줄어든 8863만9000㎡로 집계됐다. 건축 허가 동수는 수도권에서 8만5612동, 지방에서 18만4586동으로 전년 대비 2% 이상 증가한 27만198동을 기록했다.
착공 면적도 감소했다. 지난해 착공 면적은 전년 대비 5.8% 줄어든 1억2116만㎡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7.2% 줄어든 5598만2000㎡, 지방은 4.6% 감소한 6517만7000㎡를 기록했다. 전국의 착공 동수는 3.3% 늘어난 21만5921동으로 조사됐다.
다만 준공 면적은 전년 대비 8.5% 증가한 1억5339만9000㎡, 동수는 0.9% 증가한 20만5919동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년 14.2% 증가한 7238만9000㎡, 지방이 3.8% 늘어난 8100만9000㎡로 집계됐다.
국토부는 지난해 이 같은 건축 인허가·착공 면적의 감소와 준공 면적의 증가를 2015년 큰 폭으로 증가한 허가 물량에 따른 기저 효과로 풀이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건축 허가 면적이 2017년 4분기 대비 9% 이상 줄었고 착공 면적은 13% 이상 감소했다. 준공 면적은 15%가까이 늘었다.
세부 유형별로는 전년 대비 주거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와 착공 면적이 감소한 반면 준공 면적은 증가했다. 세부 용도별 허가 면적은 다가구주택은 6.9% 증가했고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은 각각 14.7%, 21.6, 20.9%, 27.3% 줄었다.
상업용 건축물의 건축 허가, 착공, 준공 면적은 모두 감소했다. 용도별 건축 허가 면적은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3.5%,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3.9% 증가했으나 판매시설과 업무시설은 각각 7.1%, 11.2% 줄었다. 30층 이상 고층 건축물의 건축 허가 면적도 전년 대비 감소 17.6% 감소한 가운데 수도권과 지방에서 각각 25.0%, 지방은 8.7% 줄었다. 아울러 아파트 허가 면적도 수도권과 지방에서 모두 감소했다. 수도권에서 허가 면적은 전년 대비 21.5%, 착공은 17.2% 줄었다. 지방에서 허가 면적은 21.7%, 착공 면적은 27.7% 감소했다.
규모별 건축 허가는 100㎡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2%를 차지했다. 100~500㎡ 건축물은 11만3058동(41.8%), 500㎡ 이상 건축물이 4만1430동(15.3%)으로 집계됐다. 착공은 연면적 100㎡미만 건축물이 9만5163동(44.1%), 100~500㎡ 건축물이 8만7436동(40.5%), 500㎡ 이상 건축물이 3만3322동(15.4%)을 기록했다. 준공은 연면적 100㎡미만 건축물이 8만3324동(40.5%), 100~500㎡ 건축물이 8만4231동(40.9%), 500㎡ 이상 건축물이 3만8364동(18.6%)으로 조사됐다.
용도별 건축물 멸실은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문교사회용이 각각 743만9000㎡(5만773동), 418만2000㎡(1만1546동), 129만1000㎡(1427동), 60만3000㎡(781동)로 집계됐다. 주거용은 단독주택이 전체의 51.0%인 379만1000㎡(4만2914동), 아파트가 155만㎡(542동), 다가구주택이 109만7000㎡(5083동)이며 상업용은 제2종근린생활시설이 전체의 36.4%인 152만1000㎡(5024동), 제1종근린생활시설이 139만3000㎡(5022동), 숙박시설이 37만8000㎡(364동) 멸실됐다.
한편 지난해 소유 주체별 건축 허가 면적은 법인이 6942만9000㎡로 전체의 43.3%를 차지했다. 개인은 33.9%, 공공은 4.4%, 기타는 18.3%를 기록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