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일교차가 큰 요즘 같은 계절에는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협심증을 방지하면 급성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으로 발전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고지혈증,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을 일으키는 협심증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한다. 크게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변이형 협심증으로 나뉘는데, 안정형은 안정 시엔 가슴 통증이 없다가 운동, 계단오르기, 언덕오르기 등 평소보다 과격한 신체 활동이 있을 때만 통증이 나타난다. 불안정형은 신체 활동 시엔 물론 안정 시에도 통증이 있고 빈도가 잦다. 변이형은 주로 새벽이나 이른 아침, 혹은 과음 후 술이 깰 즈음 통장이 발생하곤 한다.가장 전형적인 증상은 왼쪽 가슴을 쥐어짜는 것처럼 무겁고 답답하며 숨이 막히는 압박통이다. 통증은 목이나 어깨 또는 왼쪽 팔 안쪽으로 퍼지고 간혹 턱밑, 목구멍 등의 통증도 있다. 때로는 소화가 되지 않는 듯한 더부룩함, 가슴 두근거림, 심하면 불안과 오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통증은 5분 이내로 지속되며 안정을 취하거나 협심증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혀 밑에 넣는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복용하면 가라앉는다.
협심증은 방치할 경우 급성 심근경색, 심부전, 치명적인 부정맥 등으로 발전, 심한 경우 돌연사를 유발할 수 있다. 심장병은 치료가 조금만 늦어져도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진다. 돌연사의 70~80%는 심장질환이 원인이다. 그 중에서도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등의 관상동맥질환이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증상이 발견되면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
가슴 통증 양상이나 당뇨병,고혈압, 고지혈증 등 위험인자 등 병력을 기반으로 협심증 가능성이 있는 경우 심전도, 운동부하검사, 24시간 활동심전도 등의 검사를 진행한다. 증상이 경미하거나 작은 혈관의 협착으로 허혈이 심하지 않으면 약물만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불안정성 협심증이나 허혈의 범위가 크거나 고위험군으로 판단되면 시술이나 수술로 치료하게 된다. 약물 치료를 충분히 했는데도 증상 개선이 없거나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흉통이나 숨찬 증상이 있을 땐 시술이나 수술을 고려하기도 한다.최철웅 고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는 "당뇨,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과 흡연, 음주, 비만, 고지혈증 등이 협심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면서 "협심증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금연하고 과도한 음주는 삼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