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규제로 서울 주요 정비사업 지연되자경기도·부산·광주 등에서 재개발사업 경쟁[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올 하반기 들어 국내 대형ㆍ중견 건설사들이 비(非)서울 지역에서 수주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등 각종 규제로 서울 주요 정비사업장의 시공사 선정 작업이 삐걱거리자 광역시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수주 경쟁이 불붙는 모양새다.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은 최근 부산 동삼1구역 재개발정비사업 최종 시공사로 결정됐다. 이 사업은 공동주택 1999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신축하는 것으로 예상 공사비는 3705억원 규모다. 이 사업장은 지난 7월부터 시공사 선정을 위해 두차례에 걸친 일반경쟁 입찰을 실시했으나 유찰된 바 있다. 조합이 입찰보증금 1억원을 제출한 건설사에만 입찰참가 자격을 부여하는등 까다로운 조건 탓이었다. 하지만 결국 현대엔지니어링이 과감한 출사표를 내면서 수의계약으로 사업을 맡게됐다.
HDC현대산업개발도 광주광역시에서 승전보를 울렸다. HDC현대산업개발은 계룡건설과의 치열한 접전 끝에 광주광역시 서동1구역 재개발 사업권을 따냈다. '아이파크' 브랜드의 프리미엄과 높은 이주비 조건 등이 승리의 원동력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사업장은 지난달 초 열린 현장설명회에 HDC현대산업개발과 계룡건설을 비롯해 현대건설과 한양, 남양건설 등 10여곳이 참여해 경쟁 열기를 실감케 했다.
올해 부산 재개발 '최대어'로 관심을 모았던 부산 사하구 괴정5구역은 포스코건설ㆍ롯데건설 컨소시엄이 차지했다. 공사금액은 약 8000억원이며 3645가구가 들어서는 대단지다. 이곳은 당초 국내 메이저급 건설사를 비롯해 5~6곳의 지역 건설사가 관심을 보여 치열한 경쟁이 예고됐다. 특히 컨소시엄에 지역 건설사가 참여하면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는 등 사업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결국 시공권은 대형사 연합 측이 차지했다.중견건설사들의 선전도 두드러졌다. 호반건설은 지난달 18일 중흥토건을 제치고 경기 남양주 지금ㆍ도농6-2구역 재개발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다. 이 사업장은 현장설명회 당시 반도건설 등 14곳의 건설사가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추석 직전 한신공영과 라온건설의 2파전으로 치러졌던 안양 비산1동주민센터주변지구 재개발 사업권은 한신공영이 따냈다. 이로써 한신공영은 올해 두번째로 도시정비사업을 수주했다. 이밖에 SM그룹건설부문 컨소시엄이 인천 옥련대진빌라주변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됐으며, 신동아건설도 부산 금곡동 재개발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서울 외지역 정비사업 수주 열기가 앞으로 수도권 택지개발 사업권 수주 경쟁으로 전이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서울을 비롯한 투기과열지구의 집값을 잡기 위해 지난달 21일 30만가구 규모의 수도권 공공택지 조성계획을 발표하며 새로운 먹거리를 내놨기 때문이다.
박세라 신영증권 건설담당 연구원은 "정부 계획대로 택지개발을 하게되면 과거 택지조성공사 수행 경험이 있거나 관급공사 수행 이력이 있는 중소형 건설사가 더 유리하다"면서 "대형사의 경우 규모에 비해 해당 공급주택에 따른 수주가 미비한 편이라 기존 정비사업 관련 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민간주택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