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월드] 新 블록체인 허브 노리는 베트남

가상통화 시장 열기 '후끈'…韓 대형 거래소급 업체도 등장
진입장벽 상대적으로 낮은 블록체인…민·관 협력으로 경쟁력↑
[블록체인월드] 新 블록체인 허브 노리는 베트남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베트남이 새로운 블록체인 허브로 도약을 꿈꾸고 있다. 가상통화 투자 열기도 이어지는데다 정부도 친(親) 블록체인 기조를 보이고 있다. 비교적 신기술이기 때문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혁명 시대의 타 주요 기술 대비 기술적 진입 장벽이 낮은 만큼 민·관 협력이 가속화한다면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최근 1년 사이에 베트남에 몰린 글로벌 블록체인 업체들만 20여곳에 달한다. 엠블과 팝체인 등은 물론 국내 가상통화 거래소 중 일부도 베트남 진출을 고려하고 있다. 베트남 내 투자 열기도 상당하다. 현지 가상통화 거래소 10여곳 중 1위인 비트코인 베트남의 회원수는 100만명에 달한다. 하루 거래량도 200억원 수준이다. 국내 빅2 거래소 빗썸, 업비트와도 큰 차이 없는 규모다.

정부 역시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성인들의 은행 계좌 개설율(31%)보다 스마트폰 보유율(40%)이 더 높은 만큼 블록체인과 가상통화를 활용한 핀테크(금융+기술) 시장을 안착시킨다면 국가 차원의 디지털 화폐 시장이 마련될 뿐더러 금융 산업 전반의 발전까지 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용카드 결제 시장이 형성되기도 전에 모바일 결제가 안착된 중국처럼 한 단계 빨리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7월 개정된 기술이전법(LTT)을 발효시켰다. 기존 과학·기술 개발 진흥 국가 프로그램으로는 선진 기술 이전이 더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다. 특히 블록체인 분야는 이 정책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2008년 처음 등장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존 연구 역량에 좌우되지 않는 편이기 때문이다. 문형남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교수는 "AI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의 경우 이미 선두주자와 후발주자의 격차가 무척 크고, 일정 수준의 인프라가 마련돼 있지 않으면 연구개발이 어렵다"며 "아직 이렇다할 선두주자가 없는데다 특별한 시설과 장비를 요구하지 않아 베트남도 블록체인으로 충분히 승부수를 던질 수 있다"고 했다. 가상통화공개(ICO) 허브로 자리 잡은 싱가포르와도 경쟁력이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문 교수는 "싱가포르가 ICO 허브로 유명하지만 싱가포르 현지인 의무고용, 법인세와 당국의 엄격한 관리 등에 따른 인건비, 임대료 등의 부담이 상당한 반면 베트남은 이런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다"며 "우리나라 정부가 신(新) 남방정책으로 베트남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베트남 간의 블록체인 특구를 마련한다면 싱가포르에서 베트남으로 ICO 중심지가 바뀔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블록체인이 주목되면서 잡음도 커졌다. 지난 7월 현지 가상통화 채굴업체 스카이마이닝의 르 민 탐 초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로 받은 3500만달러 상당의 자금과 함께 잠적했다. 투자자들이 회사로 찾아갔을 땐 건물이 폐쇄되고 간판도 내려진 뒤였다. 인근의 별도 장소에 마련된 채굴장비 역시 모두 사라졌다. 지난 4월에는 아이팬과 핀코인이라는 두 회사가 가짜 가상통화공개(ICO)로 3만2000명의 투자자들로부터 6억6000만달러(약 710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모은 뒤 사라지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