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세먼지저감책 '알프스프로젝트' 사업 확대한다

경기도 미세먼지저감책 '알프스프로젝트' 사업 확대한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27일부터 정부의 미세먼지(PM2.5) 환경기준이 현행 50㎍/㎥에서 35㎍/㎥으로 강화됨에 따라 취약계층이나 대중교통 이용자를 대상으로 마스크나 공기청정기를 확대 지원한다.도는 이날 이런 내용을 담은 '2018년 알프스프로젝트 사업계획'을 발표하고 관련 사업을 지난해 40개에서 올해 46개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알프스프로젝트는 경기도가 추진 중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이다.

도가 올해 추가 추진하는 알프스 프로젝트는 ▲민감계층 따복마스크 무상보급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위한 마스크 보급 ▲민감계층 공기청정기 지원 ▲취약계층 맑은 숨터 조성 확대 ▲광역버스 공기청정기 설치 ▲경기북부 영세사업장 청정연료 전환사업 등 6개다.

도는 먼저 '따복 마스크' 무상보급 사업을 시ㆍ군과 협력해 미세먼지 민감계층인 7세 이하 어린이와 만65세 이상 보건소 진료 노인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지난달부터 광주ㆍ안성ㆍ수원시를 시작으로 따복마스크 280만매를 단계적으로 보급하고 있다.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마스크도 보급한다. 도는 올해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 발령시 버스 이용객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마스크 375만매를 무료로 보급할 계획이다.

도는 앞서 26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됨에 따라 도내 간선급행버스 16개 노선 185대에 미세먼지 마스크 1만8000매를 긴급 배포했다.

도는 법적 규모 미만의 건강취약계층 이용시설 1만898개소와 도내 어린이집 1만1825개 등 총 2만2723개소를 대상으로 현재 공기청정기 설치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도는 지난해 도내 전체 어린이집 1만1825개 가운데 71%수준인 8383개소를 대상으로 공기청정기 설치를 마쳤다. 도는 연내 추가로 어린이집에 대한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공기청정기 설치는 2020년까지 진행된다.

도는 취약계층 맑은 숨터 조성사업 일환으로 법정 관리의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어린이ㆍ어르신ㆍ장애인 시설의 실내공기질 개선사업으로 올해 15억원을 들여 500개 시설의 벽지와 장판을 친환경소재로 교체한다. 또 6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포천ㆍ양주ㆍ파주ㆍ남양주 지역 16개 영세사업장의 고형연료ㆍ벙커C유 보일러를 LPG 등 청정연료 보일러로 교체한다.

도는 이외에도 올해 시범사업으로 33억원을 투입해 이르면 하반기부터 광역버스 2200대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고, 미세먼지나 황사주의보 발령시 가동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경기도 미세먼지저감책 '알프스프로젝트' 사업 확대한다 원본보기 아이콘


도는 중장기 프로젝트로 소규모 영세업체 70개소를 대상으로 40억원 규모의 미세먼지 저감 방지시설 설치비를 지원하고, 오염물질 감시용 드론 7대를 투입해 미세먼지 발생사업장에 대한 검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미세먼지 기준이 강화된 만큼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의견을 하나로 모아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면서 "경기도는 알프스 프로젝트를 비롯한 경기도형 환경복지 사업을 강화해 미세먼지로부터 도민 건강을 지키는 한편, 근본적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이 마련되면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23일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개최된 '중앙ㆍ지방자치단체 정책협의회'에서 도시철도 미세먼지(PM10) 기준을 현행 200㎍/㎥에서 150㎍/㎥ 이하로 강화하고, 교통관련 다중이용시설 미세먼지(PM2.5) 권고기준(75㎍/㎥) 신설하는 방안을 환경부에 건의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