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지방서 경쟁하는 틈타먹거리 풍부한 경인지역 공략정비사업 수주로 수익개선 기대[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중소ㆍ중견 건설사들이 수도권에서 재건축ㆍ재개발사업 수주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연초 대형건설사들이 지방에서 경쟁하는 틈을 타 수도권 중소 정비사업 선점 전략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도급순위 36위인 동부건설은 전날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 '괴안2D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따냈다. 이는 동부건설의 올해 첫 수주로 지하 2층, 지상 36층, 연면적 8만4698㎡ 아파트 584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이 지역은 2012년부터 수차례 시공사 선정에 나섰지만 참여하는 곳이 드물어 번번이 유찰됐다. 이후 괴안3D구역과 동신아파트 재건축 등 주변 개발이 활기를 띄자 덩달아 사업성이 주목받으며 이번에 시공사 선정까지 이뤄졌다. 동부건설 관계자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적용한 첨단 아파트 '센트레빌'을 선보여 부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급순위 50위인 금강주택도 지난 3일 인천 남구 '법조타운' 주변 학익4구역 시공사로 선정되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재정비사업을 수주했다. 지하 2층, 지상 25층, 6개동 450가구(임대 24가구 포함)의 아파트단지를 짓는 것으로 도급액은 730억원대다. 금강주택은 지난해 8월 도시정비사업팀을 출범시킨 이후 재건축ㆍ재개발 사업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금강주택 관계자는 "앞으로 자체사업뿐 아니라 정비사업에서도 좋은 결과를 낼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해 100위권 밖으로 밀려난 모아건설도 지난 4일 수도권 첫 정비사업을 수주하며 반전을 모색중이다. 이는 인천 부평구 십정동 166-1번지 일대 십정4구역에 지하 2층, 지상 29층, 856가구의 아파트를 짓는 사업이다. 부평 십정4구역은 2009년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한신공영이 최초 시공사로 선정됐으나 사업에 차질이 생겨 시공사 변경에 들어갔다.이밖에 도급순위 29위인 삼호가 지난 1일 서울 은평구 응암동 225-1번지 일대 응암 제4구역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을 수주했으며, 도급순위 70위 극동건설은 지난달 30일 천안 주공4단지 재건축 사업을 땄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최근 수도권 정비사업 수주전에서 중소ㆍ중견 건설사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것에 대해 '대형사의 부재'를 꼽았다. 대형 건설사들이 지방에서 브랜드 파워를 앞세워 열띤 수주전을 펼치는 동안 반사이익을 얻게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SK건설, 호반건설, 한화건설, KCC건설 등 대형사들의 올해 첫 재건축 수주소식은 대전과 대구, 부산 등 대체로 지방에 집중됐다. 두성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부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 부담금 예상액 공개 이후 다음 정부까지 기다리자는 재건축 조합이 나올 정도로 사업 중단 리스크가 생겼다"며 "지방은 부담금이 나올만한 곳이 적고 사업 진행 속도가 빨라 사업성이 맞을 경우 선호된다"고 설명했다.
올해 수도권 재건축 공급이 대폭 늘어난 덕에 중소ㆍ중견 건설사들의 먹거리 찾기가 용이해졌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에서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1만5335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이는 지난해 9579가구에 비해 60.1% 늘어난 수치다.
A건설사 한 관계자는 "브랜드파워가 부족한 중소 건설사들은 정비사업 시장에 명함조차 내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올해 수도권 공급량 증가로 분위기가 달라지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