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곡의 인문의 창] 협동의 큰 길을 내자!

이남곡 인문운동가

이남곡 인문운동가

원본보기 아이콘
얼마 전 전북 완주의 발효식초 생산협동조합 설립을 준비하는 분들과 만났다. 20여명이 넘는 인원이 생산과 판매 협동조합을 준비하고 있고, 완주군이 적극적이라고 들었다. 자치단체의 지원은 필요하고 좋은 것이지만, 양날의 칼 같은 것이다. 주체적인 준비가 잘 갖추어진 상태에서는 대단히 큰 도움으로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부정적인 작용을 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근래 몇 년 간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협동조합 붐이 일었지만, 지금은 그 거품이 빠지는 시기다. 거쳐야 할 과정이라고 본다.

나는 앞으로 협동조합 특히 다양한 생산 협동조합들이 건강하게 뿌리내려 나라 경제에 중요한 비중으로 자리잡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이 과정에서 성숙한 시민주체가 형성되는 것은 협동조합의 성공을 넘어 우리 사회를 인간화·선진화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이날 이야기한 주제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였다. 1) 어떻게 사이좋게 소통하고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 2) 자본주의 시장 안에서 다른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협동조합의 생산력은 어디서 나오는가? 3) 물질적 생산력과 정신적 가치의 조화에 대하여 어떤 연습을 할 것인가?
협동조합을 운영하시거나 준비하시는 분들께, 또한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분들께 다소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심정으로 이날 이야기한 내용을 요약해 본다.
[이남곡의 인문의 창] 협동의 큰 길을 내자! 원본보기 아이콘

1) 전체 분위기를 위해서나 상대방을 배려해서 자기주장을 참고 양보하는 연습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 언젠가는 폭발하거나 스트레스 때문에 협동조합을 떠나게 된다. 자발성이 심하게 훼손된다. 사람은 사실을 그대로 알 수 있는 존재가 아니고, 자신의 감각과 판단에 의존하는 존재라는 ‘무지(無知)의 자각’을 바탕으로 당당하게 자기주장을 하되, ‘내 생각이 틀림없다’는 그 전제를 풀어놓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부자유가 없어야 한다. 점차 누가 옳은가가 아니라 무엇이 옳은가라는 방향으로 회의나 토론 문화가 바뀌게 된다. 이 연습을 일주일에 적어도 두 시간 이상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생산성과 직접 관계없다는 이유로 뒤로 미뤄서는 안 된다. 협동조합의 성공에 결정적 요소다. 너무 어려운 연습보다는 요즘 많이 개발되고 있는 쉽고 재미있는 방법들을 잘 활용하면 된다. 조합의 규모에 맞게, 가장 어울리는 사람을 이 분야의 진행을 위한 전문담당자로 육성하는 것이 좋다.

2) 협동조합의 생산성은 사이좋음과 집중에서 나온다. 첫째 서(恕)를 연습해야 한다. 다른 사람의 방식이나 사고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다. 꼭 상대방에 동의하라는 것이 아니다. 그 ‘다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래야 자기 일에 집중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충(忠)이다. 자본주의 기업 일반의 생산성이 경쟁에서 나온다면, 협동조합은 이 ‘충’에서 나온다. 자발성, 집중, 그리고 기쁨이 이 ‘충’의 내용이다. 혹 어떤 사람이 자기 일에 집중하지 못하거나 힘들어 하면 그 사람에게 맞는 일이 무엇인가를 살펴서 가장 좋아하고 맞는 일에 붙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이 협동조합의 사이좋음이며 생산성의 토대다. 이 사이좋음(恕)과 집중(忠)이 각자 도생의 경쟁을 바탕으로 하는 자본주의 일반기업과 다른 것이다. 그 과정 자체가 행복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나는 이런 점에서 중견 기업들이 협동조합으로 전환하여 성공하는 사례들을 목마르게 기다리고 있다.

3) 협동조합은 현재 물질적 부(富)를 1차적 목표로 해서 설립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당연하며, 당당한 목표다. 그러나 이 목표만 가지고는 협동조합은 성공할 수 없다. 이 점은 거의 확실하다고 말할 수 있다. 협동조합의 정신적 가치를 함께 성숙시키는 노력이 반드시 조화되어야 한다.앞의 1,2도 그 과정이다. 여기에 조금 더 나가본다. 먼저 빈이락(貧而樂)을 연습한다. 너무 물질적 결핍을 벗어나는 데 초조하지 말라는 말이다. 가난을 즐기라는 말이 결코 아니다. 가난하되 정신적 긍지를 즐기고, 예술적 문화적 공감대를 넓혀 좀 힘들더라도 즐겁고 낙천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그 다음 어느 정도 생산성이 높아지고 부(富)가 축적되면 부이호례(富而好禮)를 연습해야 한다. 여기서 ‘호례’라는 것은 ‘나누고 풀어놓는 것(禮)’을 ‘좋아하는 것(好)’을 말한다. 생산성이 낮아서 망하기도 하지만, 잘 되고도 서로의 욕심 때문에 망하기도 한다. 협동 생산이 나라 전체 GDP의 10%만 담당하게 되어도, 아마도 기업 생태계의 건강성을 선도하게 될 것이다. 협동조합은 지난번 칼럼에서 이야기한 21세기 한국 르네상스의 실천장이기도 하다.이남곡 인문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