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적 조직' 추구하는 IT업계= 네이버는 위계 중심 조직에서 '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사' 직급이 사라지면서 프로젝트나 셀을 이끌던 임원들은 '리더'로 남게 됐다. 네이버에서는 임원 뿐 아니라 부장급 이하 직원들에게도 직급이 없다. 호칭은 모두 '님'으로 통일한다. 이사 직에 해당하는 이들에게 주던 차량이나 독립적 근무공간, 회원권 등의 혜택은 없애고 그에 해당하는만큼 연봉에 포함시켜준다.
네이버 관계자는 "이사 직급을 없앤 것은 조직의 유연성을 키우고 기민하게 움직이기 위해서 만든 조치"라며 "'이사'와 '리더'는 호칭에서부터 주는 거리감이 다르고, 이사가 아니어도 할 수 있는 일을 맡긴다는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업무절차를 최소화하고 빠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구조로 조직을 변화시켜온 네이버의 또다른 결정이다. 지난해 네이버는 조직장에게 예산에 대한 책임을 주는 '책임예산제'를 도입했다. 그외에도 휴가나 출장, 외근, 비품 신청 같은 결재도 본인이 승인한다. 출퇴근 시간을 정하지 않는 '책임근무제'도 운영 중이다.
◆자율성 강조하지만…야근은 잦아 = IT업계는 제조업이나 서비스업과 비교해 연차나 권위보다 실력으로 평가받는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 다른 업종에 비해 근속연수나 정년이 훨씬 짧다. 국내 주요 상장사의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11년이지만 네이버는 평균 5.3년,
엔씨소프트엔씨소프트036570|코스피증권정보현재가227,000전일대비0등락률0.00%거래량70,102전일가227,0002025.09.16 15:14 기준관련기사[특징주]'아이온2 기대' 엔씨소프트, 4%대 상승[클릭 e종목]"엔씨소프트, 기대되는 '아이온2' 성과…목표가↑"신작 모멘텀에 살아나는 게임株close
는 4.9년에 그친다. 개발자들의 경우 연차보다 실력으로 평가받는 분위기가 자리잡혀 있다. 바꿔 말하면 그만큼 경쟁이 심하다는 의미다.
IT기업들이 위계를 없애는 것도 실력으로 평가하는 기업문화를 강조하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IT업계는 타 업종에 비해 변화가 빠르고 적응하지 못하면 곧바로 도태된다는 위기의식이 크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매일 아침 가장 두려운 스트레스는 새로운 기술이 나오는 것"이라며 "(IT 서비스는)국경이 없고 시간 제약이 없어서 (이용자가) 바로 써보고 이동할 수 있는데 그런 상대들과 어떻게 싸울지 고민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을 정도다.
IT업계의 수평 문화 지향은 국내 기업 고유의 야근 문화와 공존한다. 넷마블과 엔씨소프트를 비롯한 게임업계에서 야근은 곧 일상이다. IT업계의 근속연수가 짧은 이유도 치열한 경쟁과 과도한 업무를 버텨내지 못한 직원들이 많다는 방증이기도 하다.한성숙 신임 대표 역시 주말 없이 일하고 30분, 1시간 단위로 릴레이 회의를 주재하는 워커홀릭으로 알려져있다.
한 대표는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하고싶으면 될 때까지 견뎌야한다"며 "산에 올라가서 꼭대기에서 내려다보기 위해 그까지 올라가듯, 정상에 오르기까지는 잘 견뎌내야 한다"고 말했다. 목표를 세웠다면 이유를 불문하고 성과를 내기 위해 견뎌야 한다는 업무 지론이 담겨있다. 네이버가 더 혹독한 조직이 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대목이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