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스무살 된 '햇반' 국민 식생활 바꿨다

‘갓 지은 밥맛’으로 20년간 꾸준히 성장
브랜드를 넘어 하나의 대명사로 자리잡아
1996년 첫 탄생 이후 비상식에서 일상식으로

CJ제일제당, 스무살 된 '햇반' 국민 식생활 바꿨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주현 기자]1996년 12월 탄생한 CJ제일제당 '햇반'이 약관(弱冠)의 청년이 됐다. 햇반은 20년간 국내 상품밥 시장의 성장과 발전을 이끌어 왔으며 특히 소비자가 ‘상품밥’ 대신 ‘햇반’이라는 말을 사용할 정도로 말 그대로 ‘국민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또한 햇반은 국내 상품밥 시장의 포문을 열었을 뿐 아니라 최근 식품업계의 큰 흐름인 가정간편식(HMR) 시장 형성의 도화선이 된 제품이기도 하다.햇반이 20년간 이뤄온 성과는 다양한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햇반의 누적 판매량은 총 17억개 이상으로, 이는 우리나라 국민 1명이 최소 30번 이상 햇반을 먹을 수 있는 양이다.

용기의 지름이 13.7cm인 햇반 17억개를 나란히 배열하면 지구(둘레 4만192km)를 약 여섯 바퀴 돌 수 있는 길이가 나온다. 그동안 사용한 국내산 쌀의 양도 약 18만t에 이른다. 쌀 한 가마니 80kg을 기준으로 약 225만 가마니에 해당하는 쌀을 사용한 셈이다.
CJ제일제당, 스무살 된 '햇반' 국민 식생활 바꿨다 원본보기 아이콘

올해 말을 기준으로 햇반의 누적 매출은 1조14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997년의 연간 매출이 40억원이 채 되지 않았던 것에 비해 올해 연간 매출은 1600억 원(링크아즈텍 기준)으로 예상되며 20년 만에 40배 가량 매출이 늘어났다. 특히 1~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햇반은 최근 수년간 두 자리 수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신혼부부들은 밥솥을 구매하지 않고 햇반을 먹는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미 햇반은 우리 국민 식생활의 일부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라면(국내 첫 라면 출시 1963년)보다 약 30년 이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가정에 햇반 몇 개씩은 쌓아놓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을 정도다. 최근 CJ제일제당이 진행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90% 이상의 소비자가 상품밥으로 가장 먼저 햇반을 떠올렸다. 10명중 7명은 지난 1년 이내에 햇반을 사본 적이 있고, 햇반을 사 본 소비자 중 재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10명 중 9명에 달할 정도로 소비자 충성도도 높았다.

이처럼 소비자 일상에 깊숙하게 자리잡은 ‘햇반’은 핵심가치인 ‘갓 지은 밥맛’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진화해 왔다. 급하게 밥이 필요할 때 쓰는 비상식으로 출발해 점차 일상식으로 자리잡으면서 건강에 신경쓰는 소비자를 위한 잡곡밥을 선보였고, 지난해에는 ‘햇반 컵반’을 출시하며 최근 급증하고 있는 1~2인 가구 소비자에게 맞는 차세대 가정간편식(HMR)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한편, 90년대 말 햇반의 등장과 함께 형성돼 꾸준히 성장세를 지속하던 상품밥 시장은 1~2인 가구의 급증이 시작된 2011년경부터 10%~20%를 넘나드는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국내 상품밥 시장은 올해 약 24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는 시장규모가 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햇반 역시 2011년 이후 올해까지 연평균 15% 이상의 매출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올해 10월말까지 시장점유율(링크아즈텍 기준)은 67.2%로 20년째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시장의 3분의2 가량을 차지하는 햇반의 성장이 전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해 왔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상품밥 시장의 향후 전망도 밝다. 갓 지은 밥맛과 상품밥에 익숙한 세대의 주 소비층 진입, 편리함을 추구하는 1~2인 가구의 증가 등 여러 경제적?사회적 여건이 상품밥 시장의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병규 CJ제일제당 편의식마케팅 담당 부장은 “지난 20년간 ‘햇반’이 추구해 온 변하지 않는 가치는 소비자에게 ‘갓 지은 것처럼 맛있는 밥’을 선보이는 것"이라며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상품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투자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jhjh1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