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국 탄생 100주년' 절대와 자유展 개최

韓 추상미술 선구자 유영국 탄생 100주년 기념…역사상 최대 규모 회고전
‘최고 절정기’ 1960년대 작품 30여점+미공개 작품 10여점 대공개
국내 최초 구글 ‘아트 카메라’ 기가 픽셀 촬영
오는 4일부터 2017년 3월1일까지 덕수궁관

'유영국 탄생 100주년' 절대와 자유展 개최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국립현대미술관은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은 한국 근대미술 거장 시리즈(변월룡, 이중섭, 유영국)의 마지막 전시로 '유영국, 절대와 자유'전을 오는 4일부터 내년 3월1일까지 덕수궁관에서 연다.

유영국(1916-2002) 화가는 한국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한국의 자연을 아름다운 색채와 대담한 형태로 빚어냈다. 지금껏 미술계에서 ‘작가가 사랑하는 작가’로 존경받았음에도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국립현대미술관은 유영국의 면모를 조명하고 재발견 하고자 대규모 기획 전시를 연다. 전시에는 1937년 유학시기부터 1999년 절필작에 이르기까지 유영국의 전 생애 작품 100여점과 자료 50여점을 총망라했다. 작가 생존시 개인전(15회)과 사후 전시를 통틀어 최대 규모다. 특히 작가의 최고 절정기인 1960년대 작품 30여점도 함께 공개한다.

1916년 경상북도 울진에서 태어난 유영국은 1930년대 도쿄에서 미술공부를 시작했다. 이중섭의 선배로 문화학원(文化學院)에서 수학하고, 일본인의 재야단체인 자유미술가협회에서 활동하면서, 김환기와 함께 한국 역사상 최초로 추상화를 시도했다.

1955년 서울에서 본격적인 미술활동을 재개, 신사실파, 모던아트협회, 현대작가초대전, 신상회 등 한국 미술단체를 이끌었다. 1964년 미술그룹 활동의 종언을 선언하며 첫 개인전을 개최한 후 2002년 타계할 때까지, 오로지 개인 작업에만 몰두했다. 유영국의 작품은 점, 선, 면, 형, 색 등 기본 조형요소 만으로 균형감각을 유지하면서도 강렬한 에너지를 발산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국내 최초로 구글이 자체 개발한 아트카메라를 활용해 출품작 20여점을 기가픽셀 촬영해, 전시장 입구 및 로비에서 미디어월과 키오스크를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구글 아트 앤 컬처 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든 온라인으로 유영국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바르토메우 마리관장은 “유영국은 20세기 초중반 한국 혼란의 시기를 보내면서도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완성한 작가”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변월룡, 이중섭에 이어 우리가 기억하고 사랑하는 또 다른 한 명의 근대 작가, 유영국을 재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입장료는 성인 3000원(초중고생 및 65세 이상 무료)이며 자세한 정보는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